금감원 “금융·실물 경제 안정”
자산건전성 악화 여전히 부담
자산건전성 악화 여전히 부담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각종 지표가 2008년 말 국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동산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 자산건전성 악화는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4일 ‘금융위기 이후 변화된 우리 금융산업의 모습’을 발표하고, 금융위기 전후 각종 금융지표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금융과 실물 경제에서 가장 빨리 안정을 찾았다고 평가했다. 이 자료를 보면,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말 111.0%이던 원화 유동성(석달 안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예금에 대한 준비자금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123.9%로 올라갔고, 예대율(예금 잔액에 대한 대출의 비중)도 같은 기간 121.9%에서 99.2%로 떨어졌다. 국내은행의 자본적정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2008년 말 12.31%에서 14.62%로 상승했고, 생명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도 184.4%에서 293.4%, 손해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도 260.3%에서 320.3%로 높아졌다. 금융회사의 자금중개 기능도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의 기업대출 증감률(전년 동기 대비)은 2008년 말 1.22%에서 2009년 말 -0.36%로 떨어졌으나, 지난해 9월 말에는 1.85%의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자산건전성 지표는 회복속도가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2008년 말 1.14%에서 지난해 9월 말 2.32%로, 연체율은 1.08%에서 1.24%로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과 부동산 피에프 부실 등이 늘면서 부실채권 비율이 늘었다”면서도 “부동산 피에프 건전성 분류기준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 조처에 나선 상황이라 자산건전성이 더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