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업체는 대출금 10% 달해
소액 신용대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부업체와 저축은행, 캐피털사 등이 대출중개업자에게 지급하는 수수료율이 치솟고 있다. 높아진 수수료는 대출금리에 반영되고 있어, 금리 인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7일 금융감독원과 대부업계 등의 말을 종합하면, 대부업체들이 중개업체에서 고객을 소개받을 때 지급하는 중개수수료율이 대출금액이 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신규업체의 경우 10% 이상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다. 고객에게 100만원을 대출할 경우, 10만원 이상을 중개업체에 지급하고 있다는 뜻이다. 신용대출 영업을 확대하고 있는 저축은행과 캐피털사의 경우 대형사는 7% 안팎의 수수료를 내고 있지만, 최근 신용대출 시장에 뛰어든 중소업체들은 11~13%까지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7년 3~4%대에 머물렀던 중개 수수료가 몇 년 사이 3배 가까이 급등한 것이다. 금융당국은 소액 신용대출 시장이 커지면서, 저축은행·캐피털회사들 사이에 중개업자 유치 경쟁이 치열해진 것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들 서민금융사들은 은행에 비해 규모가 작고 영업력이 부족해, 중개업자를 통해 고객을 소개받는 영업방식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중개수수료 급등은 서민금융사의 금리 인하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해, 결국 고객의 금리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중개업체의 다단계 영업을 금지하고, 중개업체가 금융기관 한 곳과 전속계약을 하도록 하는 ‘1사 1전속제’를 도입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중개업체들의 다단계 구조를 단순화하고 중개료 상한제를 도입하는 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