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하나에 선결조건으로 요구
5년전 국민은행과 계약때 발표
“매각대금 줄어 출연 무효될 듯”
5년전 국민은행과 계약때 발표
“매각대금 줄어 출연 무효될 듯”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를 앞두고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의 ‘1000억원대 사회공헌기금’ 약속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를 승인해주기 위해선 2개의 선결조건이 필요하다고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에게 요구한 것으로 안다”며 “2개의 선결조건은 이명박 대통령의 친구로 알려진 김 회장에 대한 특혜 논란을 해소하고, ‘먹튀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론스타에 대한 사회공헌 대책을 내놓으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명박 정부가 측근 비리문제 등으로 코너에 몰리면서 정책 주도권을 상실한데다, 야당 쪽에서 하나금융-론스타 계약을 정치 이슈로 내세우자 금융당국이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를 승인하기 위해 명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두 가지 선결과제를 갖고 지난 7일 미국으로 출국해 텍사스주 댈러스에 본거지를 둔 론스타의 존 그레이켄 회장을 회동한 뒤 9일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당시 미국으로 갔지만 누구를 만났는지에 대해선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론스타가 5년 전 사회공헌기금으로 1000억원을 내놓기로 한 약속을 지킬지에 대해선 불분명하다.
그레이켄 론스타 회장은 국민은행에 외환은행을 매각하기로 계약을 맺은 뒤인 2006년 4월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 정부의 노고에 감사한다며 1000억원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출연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론스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는 “론스타가 당시에 비해 외환은행 매각대금이 줄어들었고 당시 발표는 국민은행한테 외환은행을 매각하기로 한 것이기에 사회공헌 출연 계획은 현재는 유효하지 않다고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선결조건인 론스타의 사회공헌 이슈 논란이 앞으로 불거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론스타의 사회공헌과 관련해 우리가 관여할 문제는 아니다”라며 “오히려 감독당국으로선 인수승인을 앞두고 오해가 있을까봐 더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정혁준 이재명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