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금리 정상화로 출구 모색
자본유출입·환율변동성 확대될 것”
자본유출입·환율변동성 확대될 것”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세계 각국이 지난 수년간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동원했던 정책수단을 거둬들일 경우 예상되는 후폭풍을 우려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경제권의 양적완화(통화팽창) 종료와 출구전략(금리 정상화)이 본격 논의되면 환율 불안 등 만만치 않은 충격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14일 한은 창립 63돌 기념사에서 “머지않아 양적완화 종료와 출구전략에 대한 논의가 선진경제에서 본격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지난 수년간 양적완화 정책을 펴온 주요 국가들의 정책 정상화 가능성과 이로 인한 영향을 어느 때보다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양적완화 효과와 관련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책의 비용이 편익보다 점점 더 커지고, 여러 나라가 양적완화에 참여함으로써 한계효용이 체감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김 총재는 “선진 경제권에서 정상화 과정의 수순은 금리상승을 수반하고 이에 따라 다른 나라도 국제금리 상승의 위험에 직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저금리 시기에 만연한 고위험·고수익 추구로 누적된 부작용과 경제적 취약성이 금리 상승기에 한꺼번에 표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체적인 위험으로는, 자본 유출입이나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을 꼽으며, 국내 금융권의 건전성 유지에도 비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가 상승하면 보유채권의 평가손실 등으로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김 총재는 “양적완화 축소 영향으로 자본 유출입이나 환율 변동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시장 변화를 점검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국제 공조 노력을 끌어내는 데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아울러 한은은 앞으로 기준금리 조정을 통한 통화정책보다는 중소기업이나 금융소외계층을 직접 겨냥한 신용정책에 더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혓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돈을 거둬들이려는 시점에 기준금리를 섣불리 걷드리기 보다는 총액한도대출제도 등을 활용해 성장세 회복에 기여하겠다는 뜻이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대강 떠드는 야당 강에 처박아야지…왜 가만 있나”
■ 새누리, 끝까지 원세훈 감싸고 국정조사도 거부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 “4대강 떠드는 야당 강에 처박아야지…왜 가만 있나”
■ 새누리, 끝까지 원세훈 감싸고 국정조사도 거부
■ 장관님들은 청와대에서도 그러면서… 왜 우리한테만 이러세요?
■ [미공개 사진] 박근혜 대통령과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해 여름’
■ 여자들이 꼽은 남자들의 ‘여름 꼴불견 패션’ 1위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