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만원 이하 예금 등 압류 금지
급여도 절반 이상은 못해
법률구조공단 무료 법률 지원
급여도 절반 이상은 못해
법률구조공단 무료 법률 지원
개인 통장에 남아 있던 150만원 이하의 예금이 압류를 당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금융감독원은 16일 압류 금지된 예금·보험금이 법원에 의해 압류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채권자는 채무자의 예금·보험금 등을 압류할 수 있다. 하지만 생계유지에 필요한 금전채권은 압류가 금지된다. 개인당 150만원 이하의 예금과 일정 금액 이하의 보장성 보험금에 대해서는 압류할 수 없다. 급여의 경우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이 압류 금지되며, 기초생활급여도 압류 대상에서 제외된다.
압류 금지 채권이라고 하더라도 일반 예금통장에 이체가 되는 경우에는 압류될 수 있다. 기초생활보장급여의 경우, 압류 방지 전용통장인 ‘행복지킴이 통장’에 넣어두면 압류를 막을 수 있지만, 일반 예금통장에 입금되면 압류될 수 있다.
압류 금지 채권인데도 압류가 이루어진 경우, 생계형 예금 등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서류를 법원에 제출해 압류명령 취소를 신청해야 한다. 법률구조공단은 압류 해제와 관련한 무료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 기초생활급여 등 복지급여는 압류 방지 전용통장을 개설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보험료 납부를 제때 못해서 보장성 보험 계약의 효력을 상실하게 될 경우 해약환급금의 일부에 대해 채권자가 압류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해약환급금의 150만원 이하만 압류가 금지된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