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남 엘지인화원장이 지난 27일 서울 여의도 엘지트윈타워 사무실에서 사외이사의 책임에 대한 생각을 밝히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인터뷰] KB금융 사외이사 맡은 이병남 엘지인화원장
“사외이사는 봉사하는 자리입니다. (구본무 엘지그룹 회장이) 공익적 관점에서 자원봉사하라는 취지로 허락한 것 같습니다.”
이병남 엘지인화원장(61)은 지난 27일 케이비(KB)금융지주 정기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로 선임된 뒤 서울 여의도 엘지트윈빌딩에서 <한겨레>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원장은 “경제개혁연대에서 간곡히 요청해, 보고 차원에서 위에 말씀드리면서도 현직에 있는 몸이라 안될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허락이 나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사장급인 이 원장은 대기업 현직 고위임원으로는 금융지주의 사외이사로 처음 선임됐다. 또 경제개혁연대가 소액주주운동 차원에서 독립적 사외이사로 추천해, 화제가 됐다. 그는 “많은 분이 기대가 큰 만큼 책임감을 크게 느낀다”고 말했다.
현직 고위직으로 선임된 첫 사례
경제개혁연대서 추천 “큰 책임감” 이 원장은 앞으로 역할에 대해 “(사외이사는) 경영주체인 집행임원들을 돕는 것”이라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영진이 못 보는 것이 있으면 조언하고, 다수 주주의 이익에 배치되는 의사결정은 막겠다”고 말했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 대주주의 사익 편취나 경영 독단을 막자는 취지로 사외이사제가 도입됐는데, 대주주의 거수기나 용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많아 안타깝다”면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하고, 부당한 외압이 있을 때는 안 된다고 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인사관리와 노사관계를 전공한 학자 출신으로, 엘지에서 이 분야에서만 21년을 일했다. 이 원장은 케이비금융지주의 윤종규 회장이 지난해 경영진 내분사태 이후 지배구조 개선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최고경영자(CEO) 승계프로그램’과 관련해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된다. 최고경영자 임기가 끝나면 평가해서 다음 임기에도 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임시키는 것이고, 아니라고 판단되면 새 인물을 찾는 것이다”라고 동조의 뜻을 밝혔다. 그는 일부에서 현직 최고경영자의 기득권 논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에 대해 “경영성과를 평가해서 좋은 점수를 받으면 연임 결정을 내리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라며 “(그런 주장은) 경영의 본질을 모르거나, 호도하려는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 원장은 한국 금융산업의 개선 과제로 관치문제와 함께 최고경영자와 내부 구성원 간 암묵적 담합을 통한 사익추구가 꼽히는 것에 대해 “최고경영자가 노조와 협력관계를 이뤄야 하지만, 내부 구성원과 담합관계를 맺어 신상필벌 원칙이 무너지고, 인사청탁과 줄서기가 횡행해 인사권과 경영권이 흔들리는 조직은 희망이 없다”면서 “(낙하산 등) 정당성이 없는 최고경영자가 그런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고 경고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경제개혁연대서 추천 “큰 책임감” 이 원장은 앞으로 역할에 대해 “(사외이사는) 경영주체인 집행임원들을 돕는 것”이라며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영진이 못 보는 것이 있으면 조언하고, 다수 주주의 이익에 배치되는 의사결정은 막겠다”고 말했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 대주주의 사익 편취나 경영 독단을 막자는 취지로 사외이사제가 도입됐는데, 대주주의 거수기나 용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많아 안타깝다”면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하고, 부당한 외압이 있을 때는 안 된다고 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인사관리와 노사관계를 전공한 학자 출신으로, 엘지에서 이 분야에서만 21년을 일했다. 이 원장은 케이비금융지주의 윤종규 회장이 지난해 경영진 내분사태 이후 지배구조 개선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최고경영자(CEO) 승계프로그램’과 관련해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된다. 최고경영자 임기가 끝나면 평가해서 다음 임기에도 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연임시키는 것이고, 아니라고 판단되면 새 인물을 찾는 것이다”라고 동조의 뜻을 밝혔다. 그는 일부에서 현직 최고경영자의 기득권 논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에 대해 “경영성과를 평가해서 좋은 점수를 받으면 연임 결정을 내리는 것은 지극히 정상”이라며 “(그런 주장은) 경영의 본질을 모르거나, 호도하려는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 원장은 한국 금융산업의 개선 과제로 관치문제와 함께 최고경영자와 내부 구성원 간 암묵적 담합을 통한 사익추구가 꼽히는 것에 대해 “최고경영자가 노조와 협력관계를 이뤄야 하지만, 내부 구성원과 담합관계를 맺어 신상필벌 원칙이 무너지고, 인사청탁과 줄서기가 횡행해 인사권과 경영권이 흔들리는 조직은 희망이 없다”면서 “(낙하산 등) 정당성이 없는 최고경영자가 그런 잘못을 저지르기 쉽다”고 경고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