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저축은행 12곳 중 6곳
가계 신용 70%가 ‘연 27%대’
가계 신용 70%가 ‘연 27%대’
상당수의 대형 저축은행이 가계 신용대출에 법정 최고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만 놓고 보면 ‘고금리 돈놀이’를 하는 대부업체와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25일 저축은행 중앙회 공시자료 등을 종합하면, 자산이 1조원 이상인 대형 저축은행 12곳 가운데 6곳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가계 신용대출의 70% 이상을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7~27.9%)로 대출했다. 지난달 3일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연 34.9%에서 연 27.9%로 7%포인트 떨어지면서 대부업체들은 대출금리를 내렸지만, 저축은행들은 이전과 다름없이 20%대 고금리 대출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대형 저축은행 중 법정 최고금리 대출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모아저축은행이었다. 모아저축은행은 전체 신용대출의 93.67%에 연 27~27.9%의 금리를 적용했다. 모아저축은행에서 가장 금리가 낮은 상품도 연 24%대였다. 오에스비(OSB)저축은행 역시 전체 신용대출의 92.21%에 연 27~27.9%의 이자를 받았고, 대부업체가 전신인 오케이(OK)저축은행도 전체 신용대출의 81.34%에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를 적용했다. 현대저축은행(75.9%)과 웰컴저축은행(72.06%), 에이치케이(HK)저축은행(70.32%)도 이런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대형 저축은행인 제이티(JT)친애저축은행은 법정 최고금리 대출 비중이 47.25%로 절반 이하였지만, 계열사인 제이티(JT)저축은행은 그 비중이 75.21%였다.
저축은행들의 이같은 ‘고금리 장사’에 비판도 커지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일반인한테 연 1%가량의 예금 이자를 주고 자금을 조달하는 저축은행과 10% 안팎의 금리로 돈을 꿔와야 하는 대부업에 똑같은 법정 최고금리를 적용하는 건 문제가 있다. 업권별로 최고금리를 차등화해 저축은행의 최고금리를 낮춰 이자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