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휴대폰 보험료 차등화
안드로이드폰은 10~20% 내려
안드로이드폰은 10~20% 내려
오는 7월부터 휴대전화 분실·파손 보험료가 차등화된다. 대부분은 보험료가 내리지만 수리비가 비싼 아이폰은 최대 50%까지 인상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휴대전화 보험료가 제조사별 사후서비스(AS) 정책으로 인한 비용 차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애프터서비스 정책과 수리비용을 기준으로 보험료율을 재산출하도록 보험사에 권고했다고 9일 밝혔다.
현재 휴대전화의 애프터서비스 정책은 리퍼폰(재생폰) 교체 방식과 부품 수리 방식으로 나뉜다. 아이폰을 제조하는 애플은 보증기간 내에 전화기가 고장나면 리퍼폰을 대신 지급한다. 다른 제조사들은 부품 수리 방식을 사용한다. 리퍼폰 방식은 부품을 교체해 수리하는 방식에 견줘 에프터서비스 비용이 2~3배 높다.
보험업계는 보험료 재산정이 이뤄질 경우, 아이폰의 분실·파손 보험료가 최대 50%까지 오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신 나머지 휴대전화 보험료는 약 10~20% 정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변경된 보험료율은 에스케이티(SKT)와 엘지유플러스(LGU+)는 이르면 올해 7~8월, 케이티(KT)는 내년 초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