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금리 낮아져도 대출금리에 반영 안해
“수익 만회 위해 서민에게 이자놀이” 비판
“수익 만회 위해 서민에게 이자놀이” 비판
올 상반기 카드사들이 카드론(장기 카드대출)으로 거둔 이익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1500억원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되는 저금리로 조달금리는 떨어졌지만, 카드사들이 대출금리에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카드론 규모를 더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1일 카드사들이 공개한 올해 반기보고서를 보면, 신한·삼성·현대·케이비(KB)국민·롯데·우리·하나 등 7개 전업계 카드사의 상반기 카드론 수익은 총 1조574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1514억원(10.64%) 늘어난 수준이다. 전체 영업수익에서 카드론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도 17.23%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25%포인트 높아졌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신한카드의 카드론 수익이 382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삼성카드(2819억원)와 현대카드(2531억원)가 그 뒤를 이었다.
카드사들은 카드론 취급액도 계속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7개 카드사의 카드론 취급액은 17조3772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조5906억원(10.1%)이나 증가했다. 신한카드가 3조947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242억원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어 삼성카드(2조9635억원)가 3914억원 증가했고, 케이비국민카드(2조8546억원)와 하나카드(1조4773억원)가 각각 2783억원, 259억원씩 늘었다.
카드사들의 카드론 수익이 늘어난 것은 최근 저금리가 게속되면서 조달비용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상반기 7개 카드사의 총 조달 평균 잔액은 77조3524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5조2818억원(7.3%) 늘었다. 그러나 이자비용은 8313억원으로 783억원 감소했다. 올해 들어 돈을 더 많이 빌렸지만 금리가 낮은 덕에 조달비용은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카드사들은 대출금리에서는 이런 조달금리 인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 가장 많은 카드론 수익을 낸 신한카드의 경우 올해 상반기 평균 조달금리는 1.67%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0.39%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4.52%로 0.12%포인트 낮추는 데 그쳤다.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대표는 “카드사들이 수수료율 인하 이후 카드론을 지속적으로 늘린 것은 서민을 상대로 이자놀이를 해 수익을 만회하겠다는 것 밖에 안 된다”며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이 카드론 금리에 원가(조달금리)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단속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