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제은행 국가별 실질실효환율 집계 결과 발표
신용등급 상향·외인자금유입 영향…수출엔 부정적
신용등급 상향·외인자금유입 영향…수출엔 부정적
지난달 물가와 교역 비중을 감안한 원화의 실질가치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 세계 주요 27개국 중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원화가치의 급상승은 미국 금리인상 지연 가능성과 국가신용등급 상승, 외국인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입 등에 따른 것이지만, 마이너스를 기록 중인 수출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22일 국제결제은행(BIS)이 매월 발표하는 ‘국가별 실질실효환율’ 집계를 보면, 한국의 7월 실질실효환율(2010년 100 기준)은 116.93으로 전달보다 2.64% 올랐다. 이는 BIS가 지난 1964년부터 자료를 축적해 실질실효환율을 발표하는 미국과 일본, 영국, 독일 등 27개국 중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또한 한국의 7월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119.21을 기록한 이래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에 이어 호주가 2.60% 올라 2위를, 이어 일본(1.68%), 뉴질랜드(1.58%), 홍콩(1.17%) 등이 뒤를 이었다.
실질실효환율은 세계 각국의 물가와 교역 비중을 고려해 각국 통화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로, 100보다 높으면 기준연도(2010년)보다 그 나라 화폐 가치가 고평가됐고 100보다 낮으면 저평가됐다는 의미다.
최근 한국의 실질실효환율은 2007년 7월 128.32로 정점을 찍은 뒤 2009년 3월 83.11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반등하는 등 등락을 보여왔다.
원화 가치의 급격한 절상은 주로 대외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시기가 늦어질 것으로 보이는 데다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역대 최고인 ‘AA’로 상향 조정하면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실제 원-달러 환율은 지난 10일 달러당 1095.4원으로 마감해 1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출에는 악재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7월 한국의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2% 감소해 역대 최장 기록인 19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보이고 있다. 유선희 기자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