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 위기 후 가계빚과 주택시장 동조화지수 커져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 비중 높아진 것과 관련 있어”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 비중 높아진 것과 관련 있어”
1300조원에 육박해 우리 경제에서 위기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계부채의 수축과 확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보다는 주택시장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보면, 경제주체가 내는 빚 규모의 확장과 수축 흐름을 이르는‘신용순환’이 경기나 주택가격에 각각 얼마나 동조해 움직이는지를 지수화해서 살펴본 결과 이런 결론을 얻었다. 가계의 신용순환은 주택가격에, 기업의 신용순환은 경기에 맞물려 있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동조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두드러진 현상이다.
한은이 설정한 동조화지수(CI)는 1에 가까워질수록 두 지표의 동조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2000~2007년 8년간 가계의 신용순환과 경기흐름의 동조화 지수는 0.97로 추산됐다. 하지만 가계의 신용순환과 주택가격 흐름의 동조화지수는 0.69로 훨씬 낮았다. 이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가계의 빚 규모는 주택시장 상황보다는 경기가 나쁜지, 좋은지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2016년까지 8년간은 가계신용과 경기의 동조화지수는 0.53으로 떨어진 반면 주택가격과의 동조화지수는 0.73으로 상승했다. 경기보다 주택가격과의 연관성이 더 커진 것이다. 한은은 “가계대출에서 주택담보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71.3%에 육박했다.
기업 신용순환의 동조화 흐름은 반대였다. 금융위기 이전(2000년∼2007년)엔 기업 신용순환의 동조화지수는 주택가격(0.84)이 경기(0.78)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2009년∼2016년)엔 경기(0.62)가 주택가격(0.30)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희 기자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