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이어 또다시 매입해 삼성증권 지분율 30.1%
“자본 확충해 초대형 IB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 마련”
시장에선 ‘금융지주회사 설립 위한 발걸음 재촉’ 해석
“자본 확충해 초대형 IB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 마련”
시장에선 ‘금융지주회사 설립 위한 발걸음 재촉’ 해석
삼성그룹의 주력 금융 계열사인 삼성생명이 지난 8월에 이어 또다시 삼성증권 지분을 추가 매입하기로 했다. 이로써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증권 지분은 30.1%가 됐다. 삼성이 금융지주회사 설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생명은 11일 이사회를 열고 삼성증권의 자사주 835만9040주(10.94%)를 매입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매입 가격은 11일 종가를 기준으로 결정했으며, 총 매입금액은 약 2900억원 수준이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증권 지분은 19.16%에서 30.1%로 높아진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이번 결정에 대해 “지분율이 30.1%로 지분법 적용을 받게 됨으로써 양호한 투자 성과가 예상되고, 삼성증권의 종합자산관리 역량을 활용한 적극적 시너지 창출도 기대된다“며 ”삼성증권은 자본을 확충해 초대형 IB(투자은행)으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삼성이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하는 금융지주사 전환을 위한 걸음을 한 발 더 내딛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행법상 금융지주회사가 되려면 자회사 지분율을 30% 이상 확보해야 한다. 삼성생명 역시 금융지주사가 되려면, 금융 자회사의 지분을 30% 이상(비상장사는 50% 이상)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금융지주회사법(43조의2)을 충족해야 한다.
삼성생명은 삼성자산운용의 지분 98%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삼성전자가 보유한 삼성카드 지분을 전량 사들여 지분비율을 71.86%까지 끌어올렸다. 이어 지난 8월에는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증권 지분 613만주를 매입해 지분율을 11.14%에서 19.16%로 올렸고, 이날 추가 매입을 통해 이제 지분율은 30%를 넘어섰다. 삼성생명은 또한 삼성화재의 지분도 15%를 보유해 최대주주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물론 지분의 이전 완료가 곧 지주사 설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삼성생명이 보유한 비금융계열사의 지분 처리 문제가 남아 있다. 현행법상 금산분리 규제에 따라 삼성생명은 비금융계열사 지분 보유율을 5% 밑으로 줄여야 한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을 7.7% 가지고 있으며, 호텔신라(8.0%)와 에스원(6.0%)의 지분도 5% 넘게 보유하고 있다.
한편. 삼성증권의 지배주주 지분율이 변동될 경우, 삼성증권 해외법인 소재국(미국, 영국)의 사전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종 거래는 두 국가에서 승인을 받은 이후 이뤄질 예정이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