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인천에 70.4%…6년9개월만에 70% 넘어
강남 재건축 지역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 상대적 활황
금리인상·정부 대책에 빚 부담 커져 소비 위축 영향
강남 재건축 지역 중심으로 부동산 경기 상대적 활황
금리인상·정부 대책에 빚 부담 커져 소비 위축 영향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 문제가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른 가운데 가계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수도권 편중 현상도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9월말 기준으로 예금은행을 비롯해 상호저축은행, 신용협회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 예금취급기관의 주담대 잔액은 544조3189억원으로 6월말보다 17조973억원(3.2%) 늘어났다.
올해 3분기(7~9월) 주담대 증가액을 지역별(금융기관 기준)로 보면 서울 5조4417억원, 경기 4조7971억원, 인천 1조7905억원 등 수도권이 12조293억원으로 전체의 70.4%를 차지했다. 나머지 비수도권의 증가액은 5조681억원으로 29.6%에 그쳤다.
분기별 가계대출 증가액에서 수도권 비중이 70%를 넘어선 것은 2009년 4분기(70.8%) 이후 6년9개월 만의 일이다. 수도권 주담대 증가액 역시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7년 이후 지난해 4분기(12조7241억원)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많다.
이렇게 주담대의 쏠림이 강해진 것은 수도권 부동산 경기가 상대적으로 더 달아올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서울 강남 재건축 지역 부동산 열풍을 비롯해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등 부동산 경기가 호황을 보이면서 주담대 잔액도 크게 늘었다.
주담대는 신용대출 등 다른 대출상품보다 부실 위험은 적지만, 잔액이 커지면 가계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미국발 금리상승 가능성이 커지면서 가계의 빚 부담도 불어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가계소득에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거나 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채무상환비율(DSR)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단기간 내 높아지면서 가계의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