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이후 회사채 상환여력 없어
신규수주도 목표에 턱없이 부족
17일 나올 실사 초안 토대로
23일께 추가지원 여부 발표할듯
“채무재조정 뒤 신규자금 지원 유력”
신규수주도 목표에 턱없이 부족
17일 나올 실사 초안 토대로
23일께 추가지원 여부 발표할듯
“채무재조정 뒤 신규자금 지원 유력”
국책은행의 돈을 4조원 가까이 쏟아부은 대우조선해양에 수조원의 추가 지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주실적 저조에 대금회수 지연이 겹치면서 돈줄이 마르고 있는 탓이다. 모든 채권자가 고통을 분담해 채무조정을 한다는 조건 아래 신규자금을 공급하는 카드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추가 지원은 없을 것이라던 금융당국이 말을 바꾸고 있는 셈이다.
15일 금융위원회와 케이디비(KDB)산업은행 관계자 등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는 유동성 위기에 봉착한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지원 여부를 결정해 지원 방식과 규모를 23일께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우조선의 2016년치 결산과 유동성 실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이르면 23일께 지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2015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지원하기로 결정했던 4조2000억원은 거의 소진됐으며, 추가 지원 여력은 4000억원 정도만 남아 있다.
이날 대우조선은 지난해 영업손실 1조6089억원, 당기순손실 2조710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4년 연속 적자다. 그나마 지난해 12월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2조8천억원가량을 자본확충한 덕에 자본잠식은 피했다. 정부는 이같은 결산 결과와 함께 17일께 나올 실사 결과 초안을 바탕으로 채권단과 협의해 추가 지원 규모와 방식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공식적으로는 결정된 게 없다고 하지만, 지원은 점차 기정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이는 기존 금융당국 태도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거듭 “대우조선에 추가 지원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대로 놔뒀다간 대우조선이 몇달 안에 부도날 가능성이 크다. 대우조선은 다음달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4400억원은 상환 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7월 이후 수천억원씩 돌아올 회사채는 갚기 어려운 형편이다.
신규수주 실적도 부진하다. 지난해 신규수주 목표를 62억달러로 세웠지만, 실적은 13억달러(10월말 기준)에 그쳤다. 매달 운영자금이 1000억원가량 부족한 형편이다. 지난해 11월 거제대 산학협력단은 대우조선이 도산하면 선박 건조중단 등에 따른 손실이 56조원에 이른다고 추산한 바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무너지면 세계 최고의 조선산업 생태계가 무너지고 고급 기술인력이 중국에 유출돼 순식간에 한국 조선산업이 충격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가경제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탓에 망하게 그냥 놔두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누가 돈을 댈 것이냐는 문제가 남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채무 재조정을 전제로 한 신규자금 공급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책은행·시중은행·회사채 보유자 등 대우조선 채권단이 광범위한 채무 재조정을 통해 손실을 나눠 짊어져야 신규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 방안 발표를 23일께로 잡은 것도 회사채 채무 재조정과 관계가 깊다. 4월24일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4400억원)에 대한 채무 재조정을 하려면 최소 한 달 전에는 사채권자 집회를 열어야 하기 때문이다. 시중은행도 여신한도 확대와 선수금 환급보증(RG) 발급 재개 등을 요청받을 수 있다. 최대 채권자인 수은과 산은은 추가 출자 전환을 통한 지원과 신규자금 지원을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 이들의 손실은 결국엔 국민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
지원규모는 2021년까지 부족한 자금인 2조~3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선 입을 닫고 있다. 또 일부에선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작업) 카드도 거론된다. 이는 발주사들의 선수금 반환요청 쇄도 등을 우려해 금융당국이 꺼리는 시나리오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경제학)는 “정부가 2조~3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돈을 지원해선 곤란하다. 1조원 안팎에서 당장 급한 불은 끌 수 있겠지만, 계속 살릴지 아니면 죽일지 등 장기적 플랜은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위평량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은 “현 경제부처 인사를 비롯해 대우조선 부실 관리의 책임자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