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10월중 금융시장 동향’
가계 기타대출 증가분 3조5천억원
전달보다 두배 이상 폭증한 규모
주담대는 9월과 같은 3조3천억원
가계 기타대출 증가분 3조5천억원
전달보다 두배 이상 폭증한 규모
주담대는 9월과 같은 3조3천억원
정부가 고강도 가계대책을 발표한 10월에도 은행권 가계대출이 전달보다 2조원 이상 많은 6조8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기타 대출이 2008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로 늘어나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쏠린다.
8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2017년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주택금융공사의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은행권 가계대출은 10월에 6조8천억원이 늘어 잔액이 756조원에 달했다. 10월 증가분 6조8천억원은 1년 전 같은 기간(7조5천억원)에 비해서는 적지만, 전 달인 올 9월(4조9천억원)이나 전전 달인 8월(6조6천억원)보다는 많은 액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주택거래량 축소에 따라 개별 대출 증가 규모는 축소됐으나, 중도금 등 집단대출이 늘어나면서 전체적으로는 전달과 비슷한 3조3천억원을 기록했다.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 건수는 7월과 8월 각각 1만5천건에 달했으나 8·2부동산 대책 여파에 따라 9월에는 8천건, 10월에는 4천건 수준으로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기타 대출은 올 8월 3조4천억원, 9월 1조7천억원에서 10월 3조5천억원으로 반등했다.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나영인 과장은 “9월 감소는 추석상여금 지급으로 인한 직장인 신용대출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10월 증가액 3조5천억원은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이래 최대치인데, (10월 초) 최장기 연휴에 따른 소비성 자금수요 확대, 인터넷 전문은행 신용대출 지속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설명에도 의문은 남는다. 우선 인터넷은행 대출액은 9월 1조원, 10월 8천억원 수준이었다. 결국 일반 은행의 기타 대출 증가액은 9월 7천억원에서 10월 2조3천억원으로 3배 이상 뛰었다는 얘기인데, 이를 단순히 민간소비 증가로 보기에는 무리이기 때문이다. 수출이 크게 늘면서 3분기 1.4% 깜짝성장을 기록하는 등 경제지표들이 최근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유독 민간소비는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기타 대출이 증가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나 과장은 “주택거래 건수가 늘어났다면 그렇게 볼 수도 있겠지만, 주택거래 건수 자체가 줄었다. 또 (부동산 관련 대출로 추정할 수 있는) 고액 대출이 늘어난 것도 아니어서 이번 달과 다음 달 추세를 좀더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자료: 한국은행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