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내년에 은행권 지주회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전면 검사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하나금융지주가 차기 지주 회장을 가려 뽑을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에서 김정태 현 회장을 제외하기로 했다. 또 회추위에는 현재 사외이사 7명 전원이 들어가게 됐다.
25일 하나금융지주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새로운 지배구조 개선안’을 지난 22일 이사회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원래 하나금융 회추위는 사내이사인 김정태 지주 회장과 함께 사외이사 6명이 위원으로 참여해왔으나, 내년 차기 회장 선임 땐 사외이사 7명만으로 운영되게 된다. 김 회장은 내년 3월이 임기만료로 연임 도전이 기정사실화돼 있다.
하나금융은 또 최고경영자 승계절차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내외부 최고경영자 후보군 선정절차와 후보 추천기준을 회추위에서 새로 결의하기로 했다. 또 사외이사 선임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주주와 외부자문기관 등으로 추천경로를 활성화하고 연차보고서에 사외이사 추천경로를 공시하기로 했다. 이어 최고경영자 후보군 양성프로그램도 내실화하기로 했다. 국내 주요 대학 최고경영자과정 참여를 회장 후보군 위주로 개편·강화하고 후계양성 프로그램을 별도로 마련해 회추위에 운영 결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기로 했다. 리스크관리위원회는 독립성 제고를 위해 사내이사 참여를 배제하기로 했다.
최근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시이오(CEO·최고경영자) 스스로 (자신과) 가까운 분들로 이사회를 구성해 본인 연임에 유리하게 짠다는 논란이 있다” “현직이 자기가 계속할 수 있게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며 ‘셀프연임’ 문제를 제기했다. 최흥식 금융감독원장도 “후계자 양성프로그램이 전혀 없다. 결국 (다양한 경험이 있는) 현직 회장만 최종 후보로 남는다” “(현직 회장의 회추위 참여는) 기득권 문제로 본다. 연임 의지가 있다면 남의 의혹을 사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등의 발언으로 날선 비판에 나섰다.
이번 지배구조 개선안에 대해 윤종남 하나금융 이사회 의장은 “하나금융지주 이사회는 감독 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해 객관성, 투명성, 공정성을 강화한 지배구조 개선안을 마련하였고 이를 충실히 이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윤 의장은 또 “조만간 새로 구성된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수차례 개최하여, 회장 후보군을 압축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