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한해 동안 여러 이유로 손상돼 폐기한 화폐는 5t 트럭 99대분으로, 이를 모두 쌓을 경우 백두산 높이의 2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6일 “2017년 폐기한 손상화폐는 6억장, 3조7693억원으로 전년(금액) 대비 21% 증가했고, 손상 화폐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데 소요된 비용은 617억원”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은행권은 3조7668억원(5억3천만장)이 폐기됐는데, 권종별로는 만원권이 3조404억원(80.7%)로 가장 많았고 5만원권(3338억원·8.9%), 5천원권(2109억원·5.6%), 천원권(1817억원·4.8%)이 그 뒤를 이었다. 주화는 25억원(7000만개)이 폐기됐는데, 500원화 9억1천만원, 100원화 8억9천만원, 10원화 5억4천만원, 50원화 1억2천만원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손상화폐 규모는 2013 2조2139억원(4억7900만장), 2014년 2조9847억원(5억7500만장), 2015년 3조3955억원(6억2100만장)으로 늘다가 2016년에는 3조1142억원(5억4700만장)으로 줄었는데,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 제공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일반 국민이 한국은행을 찾아 교환한 손상화폐는 46억1천만원으로 전년(36억3천만원)에 비해 27%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은행권(21억3천만원)의 손상사유는 장판 밑 눌림과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절한 보관방법이 11억6천만원(2155건)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이외에 불에 탄 경우는 7억2천만원(1091건),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 부주의가 2억4천만원(1491건)으로 뒤를 이었다.
한은은 “화재 등으로 은행권 일부가 훼손됐을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5분의 2 이상~4분의 3 미만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해주고 있다”며 “불에 탔을 경우 재가 은행권에서 떨어지지 않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면 재 부분까지 은행권 면적으로 인정하므로 교환을 위해서는 재를 털어내거나 쓸지 말고 상자나 용기에 담아 운반해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