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앙은행이 중·동유럽 8개국 기업 7400여곳을 상대로 최저임금 인상 대응 방법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제시된 6개 해법 가운데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등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인력감축’은 꼴찌였다. 사진은 유럽중앙은행 전경. AP 연합뉴스
중·동유럽 국가 기업들의 최저임금 인상 대응 방법을 조사한 결과, ‘생산성 향상’과 ‘비 노동비용 절감’이 주로 채택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력감축’(해고)은 6가지 해법 가운데 채택률이 가장 낮았다.
지난 19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최근 발간한 ‘최저임금 상승에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했나?-중·동부 유럽 조사 자료’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 자료는 중·동부 유럽 8개국(불가리아, 에스토니아,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베니아) 7426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0~15년 사이 최저임금 인상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은 비농업 분야에서 5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던 기업으로, 최저임금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경우가 4650곳과 최저임금 노동자를 고용하지 않은 경우가 2776곳이었다.
유럽중앙은행의 연구자들은 △해고 △신규 고용 축소 △가격 인상 △비 노동비용 축소 △타 노동자 임금 인상 △생산성 향상 등 6개 항목을 제시하고, 실제 적용한 사항들을 고르도록 했다. 그 결과 최저임금 노동자를 고용한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을 꼽은 경우가 61.6%로 가장 많았고, 노동비용 축소(59.1%)와 가격인상(52.7%)이 그 뒤를 이었다. 신규 고용 축소(45.8%)와 타 노동자 임금 인상(40.5%)이 그 다음이었고, 인력감축(29.6%)이 가장 적었다.
최저임금 노동자를 고용하지 않은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이라고 답한 경우가 28.1%로 가장 많았는데, 역시나 인력감축이 7.8%로 가장 적었다. 그 외에 타 노동자 임금 인상은 27.2%, 비 노동비용 축소는 23.8%, 가격 인상은 22.9%, 신규 고용 축소는 14.5%였다. 보고서는 “기업들은 최저임금 인상에 여러가지 복합적인 전략으로 대응했다”며 “대응책은 최저임금 노동자들, 규모, 업종, 단체협약, 거시경제 조건의 변화 같은 기업들 특유의 특성에 달려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