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7일 오전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사옥에서 이주열 의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행 1.5%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7일 오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어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1.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더딘 경기회복과 불투명한 경제전망 속에서 돈줄을 죄는 기준금리 인상은 최대한 천천히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다시 한번 밝힌 셈이다.
금통위는 이날 회의 뒤 배포한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국내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11월30일 6년7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1.25%에서 1.5%로 올린 뒤 1월18일에는 1.5%로 동결한 바 있다.
이주열 총재는 금통위 회의 뒤 기자간담회에서 “국내경제는 투자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 개선과 수출 호조가 이어지면서 지난 1월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물가와 관련해서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월 1.0%에 머물렀고 하반기 이후에 차차 높아져 1%대 중후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로서는 기준금리 인상 요인이 아님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역전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와 관련해서는 “외화보유액과 경상수지 흑자 폭이 상당해 대외 건전성이 양호하고, 외국인 채권(투자) 자금에서 장기투자 행태를 보이는 공공자금의 비중이 높다. 또 과거 경험을 보면, (신흥국에서의) 대규모 증권자금 유출은 내외 금리차보다는 국제금융시장의 큰 충격이나 일부 신흥국 경제의 불안이 확산되는 경우에 주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의 정책금리는 1.25~1.5%인데,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포인트 인상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 총재는 최근 정부·여당에서의 추가경정예산(추경) 논의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상충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지만 통화정책 기조는 여전히 성장세 뒷받침을 위한 완화적 수준”이라며 “추경이 이뤄지더라도 통화정책 기조와 어긋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지엠(GM) 군산공장 폐쇄와 미국의 통상압박 강화와 관련해서는 “군산공장은 가동률이 상당히 낮고, 미국의 세이프가드 조치 등도 수치만 놓고 보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공장 폐쇄나 통상압력이 확대될 경우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없고, 이게 증폭되면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위축으로 이어지는 만큼 앞으로 전개 추이를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달 31일 임기 만료를 앞둔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마지막 금통위 회의에서 소회를 묻는 말에 “따로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답을 피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