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가상화폐 대응방안 관련 긴급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생각에 잠겨 있다.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금융감독원 최흥식 원장이 2013년 하나금융지주 사장 재직 시절에 하나은행 공채에 응시한 친구 아들을 인사 추천하는 등 특혜를 준 의혹이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금감원이 “관련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하나금융 쪽에 공식 요청했다. 이에 하나금융은 채용비리 검찰 수사를 이유로 자료 제출을 사실상 거부하면서도 “내부 확인 결과 점수 조작은 없었다”고 밝혔다.
11일 금감원 관계자는 “(2015~2017년) 채용비리 검사에서 단순 인사 추천을 비리로 보진 않았으며, ‘인사 추천+점수 조작’의 경우 비리로 판단했다”며 “최 원장 관련 사안이 보도됐으니 상시감시 차원에서 하나금융 쪽에 자초지종을 설명할 자료를 제출해달라는 공식 요청을 했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전날 자료를 내어 “(최 원장은) 외부에서 채용과 관련한 연락이 와서 단순히 이를 전달하였을 뿐 채용 과정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 쪽은 “검찰이 채용비리를 수사 중이라 인사기록 서버 등에 접근하기 어렵고 자료 제출을 하기 힘든 사정을 금감원에 전달할 생각”이라며 “다만 인사 담당자 등에게 구두로 확인한 결과 문제의 직원이 필기·면접 점수가 상위권으로 점수 조작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 내부 인사자료를 토대로 한 이번 의혹 보도의 배경과 관련해 금융당국 일각에선 ‘의도’를 의심하는 시선도 있다. 하나금융이 김정태 지주 회장의 3연임 확정 과정과 지배구조 문제 등을 둘러싸고 갈등을 몇차례 겪은 뒤 ‘최흥식 흔들기’를 하면서 금융당국과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이런 식으로 하면 당국이 일하기가 어렵다”면서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최 원장의 행위가 단순 추천이었다 해도 특혜 논란의 여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금감원과 하나금융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임원들이 영업상 주요 고객 자녀 등을 채용 때 인사 추천하고 서류전형 통과 혜택을 주는 게 “시스템에 가까운 관행”으로 존재했고, 금감원도 이번 채용비리 검사 뒤 이에 대해 ‘경영유의’ 조처로 제도 개선을 지시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