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1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정책금리를 1.25~1.5%에서 1.5~1.75%로 0.25%p 인상한 것과 관련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연방시장공개위원회의 결정과 의사결정문이 다소 매파적으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미국 금리인상은)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던 바여서 국내 금융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내외금리가 역전된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여러 변수를 고려해 국내금리 인상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22일 아침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이 총재는 최근 며칠 외국인 채권 매도가 이어졌다는 질문에는 “미국 주가가 떨어지니 국내 주가도 떨어지고, 주식을 위주로 외국인 자본이 나갔지만, 이후 다시 안정을 찾았다. 내외 금리차에 따른 자본유출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
전날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연임이 확정된 이 총재는 이날 오전 8시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반응 및 영향을 점검하는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한은 쪽은 “평소 미국 금리 변동 땐 (담당 부총재보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가 소집됐는데, 한미 금리역전 상황인 만큼 총재 주재로 회의가 격상됐다”고 설명했다. 아래는 이 총재 출근길 기자와 질의·응답.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채권매도가 대량으로 며칠 이어졌습니다. 분기 말에 따른 상환연장(roll-over)인지 금리 유출에 따른 외국인 자본유출로 보시는지요?
“내외금리 차 역전 폭에 따른 자본유출로 보기에는 아직은 이릅니다. 미국 주가가 떨어지니까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주가도 떨어지고 주식자본을 위주로 외국인 자본이 나갔습니다. 그 이후에 다시 안정을 찾아서, 이달만 보더라도 안정적으로 자본이 유입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내외금리 차에 따른 자본유출로 볼 수 있다는 것은 때 이르고, 자금흐름을 데일리 베이스로 유의해서 지켜보겠습니다.”
-어제 미국이 예상대로 금리 인상을 했는데, 한국은행이 5월에 이어서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높아지는데요?
“FOMC에서 25bp(0.25%) 인상하고, 앞으로 금리인상경로를 나타내는 점도표를 보면 금년 전망은 아마 종전 예상에 부합하는 것 같습니다. 내년은 상향 조정해서 전체적으로 보면 이번의 FOMC 결정과 의사결정문이 다소 매파적으로 해석될 수도 있겠는데, 어디까지나 이것은 시장 예상에 부합했기 때문에 가격변수가 큰 변동이 없었고 그에 따라서 오늘 국내금융시장에도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은 하고 있습니다. 아까 5월 여부를 질문하셨는데, 국회에서도 어제 유사한 질문이 있었어요. 저희들이 미국 금리를 올리고 내외금리도 역전된 만큼, 늘 하는 얘기지만, 더 경각심을 갖고 지켜볼 겁니다. 앞으로 국내금리 인상의 시기는 여러가지 변수가 많기 때문에 저희들이 고려할 것입니다. 다음달에 경제전망을 하면서 여러가지를 놓고 저희들이 고민을 많이 해나가겠습니다.”
-역전 폭이 1% 정도 나면 오래 버티기 어렵다고 하셨는데, 1%를 마지노선으로 봐도 되나요?
“그런 발언을 한 적이 없고, 한미 금리역전의 폭 언제까지 역전이 돼도 무방할지 하는 것은 정말 예단하여 말씀하기 어렵습니다. 미 금리 결정이 우리 의사 결정하는데 참고요소가 되는데, 각별히 저희들이 유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175bp(1.75%)까지 벌어진 적도 과거에 있는데, 어느 정도 금리차까지 용인될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집어서 이야기하기 어렵고, 175bp 말씀하셨는데, 과거에 두차례 있었고 그 당시 금리차가 2년 정도 유지 되었었습니다. 그때 금융시장 상황, 여건이 반영된 결과고 지금하고 그때는 경제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꼭 집어서 몇퍼센트까지는 가능하고 어디서부터는 아니라고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FOMC에서도 4회 인상 예상하는 사람이 늘어났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찌 생각하는지?
“큰 변동이 없습니다. 물론 3회/4회 인상하는 숫자가 동수인데, 12월에도 그러지 않았습니까? 이번 결정은 점도표를 보면 12월과 변동이 없기 때문에, 미 금융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안준 것 같습니다. 2월에 금리 정책정상화 속도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면서 가격변수가 큰 요동을 친 적이 있잖아요. 미국경제가 인플레 등에 따라서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 그렇게 되면 국내금융시장이 그에 따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늘 그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 종전보다는 더 각별히 저희들이 지켜보겠습니다.”
-지금 당장은 금융시장에 영향이 크지 않다고 하시지만 만에 하나라도 변동성이 커질 상황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는지?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렸죠. 경제상황의 진전에 따라서 연방준비제도(Fed) 통화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다시 부각될 수 있고, 그 경우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저희가 예의주시하고 대응하겠습니다. 시장 불안의 상황이 온다면 그때는 적절한 정책수단을 통해서 시장안정화를 하겠습니다.”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채권매도가 대량으로 며칠 이어졌습니다. 분기 말에 따른 상환연장인지 금리 유출에 따른 외국인 자본유출로 보시는지요?
“내외금리 차 역전 폭에 따른 자본유출로 보기에는 아직은 이릅니다. 미국 주가가 떨어지니까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주가도 떨어지고 주식자본을 위주로 외국인 자본이 나갔습니다. 그 이후에 다시 안정을 찾아서, 이달만 보더라도 안정적으로 자본이 유입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내외금리 차에 따른 자본유출로 볼 수 있다는 것은 때 이르고, 자금흐름을 데일리 베이스로 유의해서 지켜보겠습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