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S 프리미엄 4월 0.49%p→5월 0.43%p
은행들 중장기 대외차입 가산금리도 하락
은행들 중장기 대외차입 가산금리도 하락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고 북미 대화가 본궤도에 오르면서 국제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 비용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내놓은 ‘2018년 5월 중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을 보면, 외국환평형기금채권(5년물)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3~4월(평균) 0.49%p에서 5월 0.43%p로 낮아졌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가 부도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파생금융상품인데, 이 과정에서 부도 위험을 회피(헤지)하기 위해 내는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가 CDS 프리미엄이다. 따라서 CDS 프리미엄이 낮아졌다는 것은 시장에서 부도 위험이 그만큼 낮아졌다고 평가받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CDS 프리미엄은 2008년 말~2009년 초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일 때 4%p 수준까지, 2011년 후반 유럽 재정위기 때는 1.6~1.7%p까지 치솟았다. 이후 2012~16년에는 0.5~1%p 수준에서 움직였는데, 2016년 10월에는 0.41%p까지 낮아지기도 했다. 지난해 하반기 북한이 잇따라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나서고 미국과 북한이 ‘말 폭탄’을 주고받으며 긴장이 고조되자 0.71%p(10월)까지 오르기도 했다.
한은 국제총괄팀 김동휘 과장은 “CDS 프리미엄은 주되게는 국제금융시장 여건에,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반영돼 정해진다. 따라서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북핵 등 리스크에 따라 오르락내리락 하는데, (남북 대화 등이 본격화된) 5월에 많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국내 주요은행들이 외국에서 외화자산을 차입할 때 덧붙는 가산금리(평균)도 4월 0.63%p에서 5월엔 0.47%p로 낮아졌다. 대외차입 가산금리는 2016년 평균 0.66%p, 2017년 평균 0.68%p였다. 가산금리가 낮아지면 국내은행들이 지불하는 비용이 그만큼 줄어들어 수익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