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금융·증권

한은 “지난해 하루 평균 외환거래액 62조원”

등록 2019-01-30 12:00수정 2019-01-30 14:40

2018년 중 외환거래량 전년보다 9.6% 증가
“사상 최대 교역량·외국인 채권자금 유입 영향”
자료: 한국은행(※ 그래픽을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하루 평균 외국환 거래량이 60조원을 훌쩍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30일 ‘2018년 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동향’을 내어 2018년 하루 평균 외국환 거래 규모는 전년(506억4천만달러)보다 9.6% 증가한 555억1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화 기준 62조원가량으로,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최대치다.

상품별로는 지난해 수출입 규모 확대와 외국인 채권자금의 지속적 유입에 따른 외환 수요 증가 속에 현물환 하루 평균 거래량이 전년보다 8.9% 늘어난 213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현물환 거래 통화는 원-달러 거래가 하루 평균 153억4천만달러로 전체의 75%가량을 차지했고, 원-위안화(18억8천만달러), 달러-유로(12억7천만달러), 달러-엔화(7억9천만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또 국내 은행의 현물환 거래량이 127억3천만달러로 외국계 은행 지점(86억달러)보다 많았다.

외환파생상품 거래는 지난해 환헤지 물량 증가와 차익거래 유인 변동성 확대 속에 전년보다 10.1% 늘어 268억9천만달러에 달했다. 217억7천만달러로 전체 파생상품거래의 60~70%가량을 차지하는 외환스와프가 19억9천만달러 늘었고, 선물환(111억8천만달러) 하루 평균 거래량도 10억7천만달러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외국계 은행 지점의 파생상품 취급량이 전년보다 16.6%(28억5천만달러) 증가한 200억1천만달러로 국내 은행(141억6천만달러·+2억8천만달러)을 압도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1.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2.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3.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4.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5.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