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3월 금융안정’ 자료
가계부채 증가율 5.8%…2013년 이후 최저
가계 소득증가율(3.9%)보다는 여전히 높아
대출 차주 ‘소득 대비 부채비율’ 217.1%
‘다중채무+저소득 또는 저신용’ 146만명
가계부채 증가율 5.8%…2013년 이후 최저
가계 소득증가율(3.9%)보다는 여전히 높아
대출 차주 ‘소득 대비 부채비율’ 217.1%
‘다중채무+저소득 또는 저신용’ 146만명
우리나라 가계부채(가계대출+판매신용)가 2018년말 현재 1534조6천억원으로 전년말보다 5.8% 증가했다. 증가세는 2013년(5.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둔화했으나 여전히 가계의 소득증가율(순처분가능소득 3.9%, 2018년 4분기 추정치)을 웃돌아 경제의 취약요인으로 지목된다.
28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3월 금융안정’ 자료를 보면, 한국은행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보니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2.7%(추정치)로 2017년말(159.8%)보다 늘었다. 이 비율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작년 4분기 가계부채 증가율(5.8%)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3.9%·전년동기대비)보다 높은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작년말 현재 86.1%로 2017년 말(83.8%)보다 상승했다. 이 비율 역시 2014년 이래 증가 추세에 있다. 작년 4분기 가계부채 증가율(5.8%)은 명목 지디피 증가율(3.0%)보다 높았다.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리거나 외상으로 신용·할부구매를 한 대출 차주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은 2017년말에 평균 212.9%에서 지난해말에는 217.1%로 더 높아졌다. 2014년(174.6%) 이후 매년 상승세다. LTI의 구간별 분포를 보면,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이 비교적 적은 ‘LTI 100% 미만’인 차주 비중이 2017년 51.5%에서 지난해는 50.4%로 소폭 줄어든 반면, 부채부담 수준이 크게 높은 ‘LTI 300% 이상’ 차주 비중은 같은 기간에 21.1%에서 21.9%로 약간 늘었다.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DSR)은 지난해 31.8%로 2017년(30.8%)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난해 가계대출 연체율은 은행대출 0.26%, 비은행대출 1.55%였다.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차주의 부채규모를 보면,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하위 7~10등급)’인 취약차주의 부채 규모는 2018년말 현재 86조8천억원(전체 가계대출액 1444조5천억원의 6.0%)으로, 2017년말 대비 4조1천억원 증가했다. 2015년 이후 계속 증가일로에 있다. 여기에 속하는 차주는 146만8천명으로 전체 가계대출자(1917만1천명)의 7.7%다. 전년말(149만9천명) 대비 소폭 줄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동시에 저소득이고 저신용’인 차주의 대출 규모는 12조2천억원(전체 가계대출의 0.8%)으로 2017년말(12조7천억원)보다 감소했다. 여기에 속하는 차주 수도 2017년말 41만8천명에서 작년말 37만8천명(전체 가계대출자의 2.0%)로 줄었다.
한편, 차주별 전체 가계 대출 대비 신용대출 비중은 취약차주(2018년 41.7%)가 비취약차주(23.7%)에 비해 여전히 2배 정도 높았다. 한은은 “부동산 관련 대출규제 강화, 주택거래 위축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고 이런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주요국에 비해 이미 높은 수준이어서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 취약차주의 채무상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