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은행권이 손잡고 청년 중소득층을 겨냥해 7천만원 한도로 금리를 2.8%대로 낮춘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상품을 내놨지만 서울 지하철역 500m 이내 역세권 아파트 중 전세금 1억원 이하는 0.21%, 2억원 이하도 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케이비(KB)금융그룹이 디지털 부동산 종합플랫폼인 ‘리브온’을 통해 분석한 자료를 보면, 서울 역세권 아파트의 전세금 가격대별 비중은 1억원 이하 0.21%, 1억~2억원 7.58%, 2억~3억원 13.32%, 3억~4억원 21.05%, 4억~5억원 18.16%, 5억원 초과 39.67%였다. 출퇴근 등 경제활동에 적절한 역세권 아파트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이용 대상인 전세금 5억원 이하가 60%이고, 대상이 아닌 5억원 초과가 40% 정도 되는 셈이다. 하지만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한도가 최대 7천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적어도 억대 이상의 돈을 보태야 역세권 아파트 전세에 대한 선택지가 어느 정도 생기게 된다. 억대 이상의 돈을 정책대출이 아닌 시중금리 전세자금 대출로 조달하려면 평균잡아 연 3.5% 안팎의 금리를 물어야 한다.
서울에서 전세금 1억원 이하 역세권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영등포구로 589가구가 존재했다. 또 전세금 1억~2억원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노원구로 2만8915가구였으며, 그 다음은 도봉구(7857가구)와 강서구(4821가구)가 뒤를 이었다. 전세금 2억~3억원 아파트는 노원구(2만2859가구), 도봉구(7587가구), 구로구(8677가구)에 상대적으로 몰려 있는 편이었다.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은 지난달 22일 출시됐는데, 부부합산 가구이든 1인가구이든 연 7천만원 이하 소득에 대상 주택도 수도권은 전세금 5억원 이하(지방 3억원 이하)로 넓혔다. 이에 상대적으로 고소득인 청년가구에까지 정책 저금리 혜택을 준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실제 정책 지원 대상인 서울 역세권 아파트 전세시세와 분포를 봤을 때 청년 맞춤형 대출에 억대 이상의 돈을 보태야 할 공산이 크고, 선택할 수 있는 지역도 노원·도봉·강서구를 이르는 이른바 ‘노도강’ 쏠림 현상이 큰 편이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