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우리금융지주의 최대주주 예금보험공사가 남은 지분 18.3%를 모두 매각한다. 외환위기 이후 1998년 처음 공적자금을 수혈받은 우리금융은 24년 만에 완전히 민간으로 넘어가게 된다.
25일 정부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전날 열린 회의에서 예보로부터 보고받은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 중 1회차 지분 매각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3년간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지분을 나눠서 팔기로 원칙을 정했다.
구체적으로 예보는 매번 10% 범위 안에서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할 계획이다. 예정가격을 웃돌게 입찰한 이들 가운데 가격순으로 희망하는 가격 및 물량대로 여러명에게 낙찰시키는 방식이다. 기존 과점주주는 물론 최소입찰물량(4%)을 충족하는 외국인 포함 신규 투자자도 입찰할 수 있다. 투자 유인을 끌어올리기 위해 사외이사 추천권 등 ‘당근’도 쓸 계획이다. 특히 경쟁입찰에서 유찰되거나 남은 물량에 대해서는 최대 5% 범위 안에서 블록세일로 처리한다고도 못 박아, 민영화 속도를 늦추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옛 한빛은행 등 5개 금융기관의 부실을 정리하면서 경영 정상화를 위해 공적자금 12조8천억원을 우리금융에 투입했다. 2016년 12월 정부는 지분 중 30%를 과점주주에 쪼개 팔면서 형식상 민영화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최대 단일주주가 예보로 남아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간 지분 매각 등으로 정부가 회수한 금액은 11조1천억원(회수율 87.3%)에 이른다. 이달 기준 우리금융 지분은 예보(18.32%), 국민연금(8.37%) 우리사주조합(6.39%) 아이엠엠(IMM) 등 과점주주(5.96%)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 공적자금 회수율이 양호하고, 과점주주 중심의 지배구조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법령상 민영화의 원칙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금융산업 발전’을 일정 부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예보의 남은 지분 매각 시기가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내년부터 시작될 매각 계획을 앞당겨 발표했다. 주가가 출렁이면 매각을 접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에 대해서도 정부는 금융위기 등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이 오지 않는 한 주가 변동에도 기존 매각 원칙을 지킨다는 방침이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구조개선정책관은 “(매각 결정에는) 직접적인 회수뿐만 아니라 우리금융이 민영화돼 금융시장 발전에 기여하는, 보이지 않는 것들도 고려해야 한다”며 “주가에 연연하다 매각 시기를 놓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단순 계산으로 정부는 주당 1만3800원에 지분을 팔면 원금을 회수하게 된다. 이날 우리금융지주는 전날보다 0.71% 내린 1만3950만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우리금융은 정부 발표를 ‘호재’로 보고 반겼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정부의 잔여지분 매각 방침을 외국인 투자자 등에 설명해도 충분히 신뢰를 받지 못했는데, 구체적인 처분 방식까지 나왔으니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말했다.
박수지 정세라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