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분기 평균 25.9조원 증가에서 8.7조원으로 뚝
정부 가계부채 억제책, 신규 주택 투자 감소한 까닭
정부 가계부채 억제책, 신규 주택 투자 감소한 까닭
집, 돈. 대출, 집값, 가계 부채.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올해 1분기 가계 금융부채가 지난해 4분기에 견줘 8.7조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전분기 대비 증가액으로는 2013년 1분기(6천억원) 이후 6년만에 최저치다. 정부의 대출 규제를 통한 부동산 투자 억제책에 따라, 신규 주택 투자가 감소한 까닭으로 해석된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1분기중 자금순환(잠정)’을 보면, 올해 3월말 현재 가계 비영리단체 부문의 금융부채는 1800조원으로 지난해 말에 견줘 8조7천억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해엔 매 분기당 평균 25조8750억원씩 늘어났으나, 올해 들어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것이다. 반면, 가계 금융자산은 83조2천억원 늘어났다. 이에 따라 순금융자산은 74조4천억원 늘어난 2015조4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부채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도 지난해 1분기 2.17배에서 2분기 2.15배, 3분기 2.14배, 4분기 2.08배로 작년 내내 나빠졌으나, 올해 1분기에는 2.12배로 소폭 개선됐다. 이인규 한국은행 자금순환팀장은 “작년 하반기 이후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되면서 가계 부문의 신규 주택투자 규모가 감소한 게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2분기 금융부채 증가액이 1분기보다는 소폭 늘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월평균 증가액이 올해 1분기에는 2조원대 중반에 머물렀으나, 2분기에는 3조원대 초반으로 늘어난 바 있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