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을 받을 때 대출자의 절반가량이 대출금리 결정 과정이 불투명하다고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2월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10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인식 조사’를 한 결과 금융소비자들의 만족도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응답자의 30.5%는 금융상품 및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불만족·불합리한 처우를 받았다고 답했다. 이는 2018년 조사 당시 30.4%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해하기 힘든 약관·상품설명서(88.7%), 과도한 서류 요청(77.5%), 과도한 대기시간(65.7%), 상품구매 시 불충분한 설명(77.5%) 등 불편·불만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제기됐다.
응답자들은 어려운 상품·대출 시 상당수가 불합리한 경험을 호소했다. 최근 5년내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상품을 이용한 바 있다는 응답자(34.8%) 상당수가 판매직원이 ‘설명은 대충 하면서 서류에 필요한 서명부터 우선 안내’(43.1%)했다고 답했다. 아울러, 최근 5년내 ‘대출경험이 있다’는 응답자(44.3%)의 상당수도 ‘대출금리 결정과정이 불투명하다’(46.3%)고 응답했다.
또 ‘금융회사가 소비자 보호에 노력한다’는 응답은 37.9%로 전년(37.7%)에 비해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 행태와 윤리의식에 대해서도 여전히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상품판매 후 고객에게 신경쓰지 않음’(73.0%), ‘사고·피해 발생 시 책임지지 않음’(75.7%), ‘경영진이 소비자 보호에 관심없음’(71.7%) 등 부정적 답변이 전년과 거의 비슷했다. 특히 금융회사의 윤리의식이 충분한지에 대해서는 ‘충분치 않다’는 응답률이 2018년 68.4%에서 2019년 73.9%로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연령·지역·성별로 비례 배분해 임의추출된 전국 만 19~69살 국민 1045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03%포인트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