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프로그램 6일 종료, 2차심사 시작까지 공백
서울시 대환대출 등 눈길
서울시 대환대출 등 눈길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중·저신용(4~10등급)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긴급대출 상품이 약 20일간 중단된다.
5일 정부 당국에 따르면, 중·저신용자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1차 긴급대출 프로그램이 6일 종료되고, 2차 긴급대출 프로그램은 오는 25일부터 심사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약 20일간 공백이 생기게 된다.
1차 프로그램은 저신용(신용등급 7등급 이하) 대상 소상공인진흥공단(소진공) 경영안정자금과 중신용자(4∼6등급) 대상 기업은행 초저금리 대출, 고신용자(1∼3등급) 대상 시중은행 이차보전 대출 상품 등 3가지로 운영해왔다. 대출금리는 모두 연 1.5%다. 이 가운데 기업은행의 초저금리 대출은 지난달 말 마감됐고, 소진공의 경영안정자금도 6일 오후 6시에 마감된다. 고신용자 대상의 시중은행 이차보전 대출만 남는 셈이다.
2차 긴급대출 상품은 오는 18일부터 접수를 시작해 25일부터 심사에 착수한다. 정부는 2차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위해선 전산작업 등 준비를 해야 해서 일시적 공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2차 대출 상품은 금리가 연 3~4%로 높아지고, 대출한도는 1천만원으로 통일된다. 접수창구는 신한, 국민, 우리, 하나, 기업, 농협 등 6대 은행으로 일원화된다. 1차 프로그램에 몰린 가수요를 차단하는 차원에서 금리를 올리고 한도를 낮춘 것이다.
2차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까지 급전이 필요한 소상공인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가 공급하는 대출상품을 눈여겨볼 만하다고 금융권은 조언한다. 지자체 상품들은 소상공인 긴급대출 상품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서울시는 지난달 16일 고금리 대출을 1.5%대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서울형 이자비용 절감 대환대출 지원 특별보증’ 상품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서울시가 600억원을 투입해 마련한 신규 보증상품이다. 지원대상은 연리 15%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3개월 이상 이용하고 있는 저신용 소상공인(신용등급 4∼8등급)이다. 최대 3천만원 한도 내에서 고금리 대출을 일반 금융회사 대출로 전환할 수 있다.
경기도도 신용등급 7등급 이하 도민에게 연 1%로 50만~300만원을 대출해주는 ‘경기 극저신용대출’ 상품을 운영중이다. 이달 중 2차 신청을 받는다. 다른 지자체들도 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