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최근 투기 양상을 빚고 있는 고위험 상장지수펀드(ETF)·상장지수증권(ETN) 투자 시 기본예탁금을 설정하는 등 투자 건전화 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10일 “최근 원유 이티엔에 대해 여러 차례 경고했는데도 과열 양상이 빚어졌다”며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투자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관계 기관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된 단계는 아니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검토안에는 코스피 선물·옵션 같은 장내파생상품 거래 시 부과되는 조건과 비슷한 내용이 포함돼 있다. 선물·옵션거래의 경우 1천만원, 주식워런트증권(ELW)의 경우 1500만원의 기본예탁금이 있다. 이는 투자자 문턱을 다소 높이려는 것이다. 파생상품에 투자해 주가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레버리지 상품과 지수를 거꾸로 추종하는 인버스 상품이 우선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주가지수를 단순히 추종하는 이티에프 등 투자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상품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일부에선 과도하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에 이티에프와 이티엔 중에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에는 파생이 들어가기 때문에 예탁금 조항을 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고위험 이티에프·이티엔 투자자에 대해 사전교육을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상품 구조와 위험도 등을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선물·옵션의 경우 현재 1시간 기본교육과 3시간 모의거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현재 가격이 너무 떨어져 몇백원 단위로 거래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액면병합을 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이는 실제 가치변동은 없지만 병합을 통해 가격을 올림으로써 투자심리를 조금이나마 냉각시키려는 차원이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