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6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경제중대본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6.16. 연합뉴스
금융위원회는 국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간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 정책이 자산가격 버블 등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16일 오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렇게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이른바 ‘금융시장과 실물지표의 괴리’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중의 유동성이 기존의 우량기업과 금융시장 내에만 머무르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코로나19로 업황 전망이 좋지 않은 기업들에게까지 자금이 충분히 흘러가지 않고 있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 0.5% 수준의 역대 최저 기준금리 하에서 시중 부동자금이 1130조원에 달하고, 주식 투자자 예탁금도 전년 대비 약 20조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시중 유동성의 흐름을 생산적인 부문으로 돌리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없다면 금융시장 내에서의 양극화와 금융과 실물경제와의 불균형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비생산적 부문으로 자금이 쏠려 자산가격의 버블을 초래하는 등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 정책이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초래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제중대본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의 목적은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간 괴리의 간극을 줄여나가고, 민생금융안정 패키지가 자금이 필요로 하는 곳 구석구석까지 닿을 수 있도록 꼼꼼히 점검해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금융권의 중소기업 등 실물경제 지원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중소기업 대출이 약 48조6천억원 증가했고, 금감원 분석결과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소상공인·중소기업에도 비교적 고르게 지원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나지만 현장에서 중소기업의 금융지원 체감도는 여전히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