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지체 장애지원 기능을 갖춘 현금입출금기(ATM). 자료: 금융위원회
시각·지체 장애지원 기능을 갖춘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금기’(ATM)가 내년 말까지 금융회사의 모든 현금입출금기 코너에 배치된다.
금융위원회는 18일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기의 설치 비중을 확대하는 내용의 개선방안을 내놨다. 금융위는 지난해 말 현재 전 금융권의 현금입출금기 코너 2만9634곳(VAN·우체국 제외) 중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금기는 2만4547곳으로 83% 수준인데, 이를 내년 말까지 100%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금기는 점자표시·화면확대·이어폰잭·휠체어공간 등의 기능을 두루 갖춘 기기를 말한다.
지난해 말 현재 전국의 현금입출금기(우체국 제외)는 모두 11만5563개이며, 이중 장애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기기는 10만1146개다. 이 가운데 시각·지체 장애지원 기능을 모두 갖춘 현금입출금기는 5만4992개다. 이들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금기를 적절히 분산 배치하면 모든 현금입출금기 코너에 최소한 1대 이상을 배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위는 2023년 말까지 전 금융권(은행·저축은행·상호금융 등)의 범용 장애인 현금입출금기 설치 비중을 사실상 100%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또한 장애인용 현금입출금기가 사용하는 데 여전히 불편하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음성 안내기능 보완, 설치부스 위치 조정 등의 개선안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