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경영상 어려움이 지속돼온 구조적 취약기업들에 대해 자구 노력을 전제로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할 방침을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관계부처와 금융회사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이렇게 밝혔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 이전부터 경영상 어려움이 지속돼온 구조적 취약기업들의 경우에는 증자, 자산매각 등을 통한 자체적인 재무구조 개선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벤처부·정책금융기관들의 연계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고, 재무구조 개선과 사업전환 노력을 이행하는 기업들에는 정책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해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업·투자자·채권금융기관·관계기관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을 받고 싶어도 신용등급 자체가 낮아서 지원을 받기 어렵다고 하소연하는 중소·중견들도 적지 않다”며 “이들 기업에 재무컨설팅이나 사업재편 컨설팅 등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또한 3차 추경안 통과로 정책금융기관에 4조7천억원 규모의 재원을 확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크게 완화됐으며, 이에 따라 3~4월과 같은 위기 재연 시 즉시 임계점까지 추가 확대할 수 있는 약 70조원의 정책금융 지원 여력도 확보했다”고 말했다. 산은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추경안 통과로 올해 말 12% 초반에서 13% 수준으로 올라갈 전망이며, 신용보증기금의 보증배수는 20배 초과에서 14매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이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또한 3차 추경안이 통과됨에 따라 신규 지원 프로그램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자동차 부품산업 취약기업 중점지원 방안’의 경우, 이번주 안으로 보증 프로그램을 시행할 예정이다. 손 부위원장은 “‘저신용등급 회사채·CP 매입기구’는 추경안 통과로 정부 출자금 1조원이 마련된 만큼 한국은행과 산업은행 등과 함께 관련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7월중에 SPV를 설립하고 비우량채 발행기업 지원을 개시하겠다”고 말했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