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삼성화재 등 삼성 금융 관계사들이 12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석탄 관련 금융에 참여하지 않겠다며 사실상 ‘탈석탄 금융’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삼성금융그룹의 대표회사인 삼성생명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삼성 금융 관계사들이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 위기의 선제 대응을 위한 ‘탈석탄’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는 지난 2018년 6월 이후 석탄 발전에 대한 신규 투자를 하지 않고 있는데, 석탄 화력 발전소에 대한 직접적 투자·융자와 석탄 화력 발전소 건설 목적의 회사채에도 투자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화재는 석탄 화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보험을 인수하지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삼성증권과 삼성자산운용도 석탄 채굴과 발전 사업에 대한 투자 배제 등을 포함한 ‘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ESG) 투자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다음달부터 현업에 적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삼성 금융 관계사들은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등 친환경 관련 자산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삼성 금융 관계사들은 이런 내용의 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에 대한 책임경영 강화를 위한 ‘ESG 경영 추진전략’을 다음달 각사 이사회에 보고하고 강력 추진할 방침이라고 삼성생명은 밝혔다. 이에스지 경영은 기업의 재무성과 외에 환경보호(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기업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삼성 금융 관계사 관계자는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탈석탄 정책 강화를 결정했다”며 “향후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