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3100선을 넘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1층 전광판 모습. 사진 한국거래소 제공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증시의 과열 여부를 추정해본 결과 코스피 3300 안팎이 되면 과열 수준인 것으로 내부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금감원의 설명을 종합하면, 금감원은 감독업무 참고 목적으로 지난해 미국 하버드대 교수진이 발표한 금융위기 발생 확률 추정모형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했다. 이 모형은 42개국의 1950~2012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용 및 자산가격 증가율 등을 활용해 향후 3년 내 금융위기 발생 확률을 추정한 것이다.
금감원은 이 모형에 지난해 6월 시점에서 추정된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과 유동성, 자산가격 증가율 등 변수를 적용했다. 그 결과 코스피 3300 안팎이 과열 수준인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이 추정치를 현재 국내 증시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반년 사이에 이들 변수에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코스피가 이미 3100선에 이른 만큼 최근 변수를 적용하면 과열 기준이 되는 지수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 분석은 2019년 말 및 작년 6월말 기준으로 작성되었고, 이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자료에 추정치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최근 통계를 포함할 경우 같은 모형을 사용하더라도 기존 분석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최근 주가 수준의 과열 여부에 대한 평가는 신성장 산업의 성장 및 증시 저변의 확대 등 국내 산업 및 증시의 체질이 한단계 개선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사항으로 단순히 주가지수만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이 분석에서 활용한 모형은 감독 목적이 아닌 학술 연구를 위한 것으로, 전세계 40여개국의 경제환경을 포괄·비교하기 위해 두가지 변수만을 사용하는 등 개별 국가 적용에 제약이 있으며, 모형의 추정결과를 토대로 주식가격의 적정성을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박현 기자
hy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