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KST모빌리티·코나투스·코액터스와 ‘택시 플랫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KST 모빌리티 정원조 대표, 코액터스 송민표 대표, 코나투스 김기동 대표, 카카오모빌리티 안규진 부사장.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앞으로 마카롱택시와 반반택시에 가입한 가맹택시 기사들도 카카오의 가맹호출을 받는다. 이에 중복 호출에 따른 호출 취소 등 소비자 불만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모빌리티는 6일 보도자료를 내어 케이에스티(KST)모빌리티(마카롱택시)와 코나투스(반반택시)와 ‘택시 플랫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가맹택시 플랫폼 간의 첫 협력 사례다.
이번 협약에 따라 마카롱택시와 반반택시에 가입한 가맹택시 기사들은 카카오에 가입하지 않아도 카카오의 ‘가맹 호출’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간 이들 기사들은 카카오가 미가입 택시에게 보내는 ‘일반 호출’만 받을 수 있었다.
이번 협약은 마카롱 등 다른 가맹택시에 가입한 기사들이 해당 가맹의 호출과 카카오의 일반호출을 동시에 받으면서 생겨난 소비자 불만을 줄이기 위해서 마련됐다. 실제 이들 기사들이 카카오의 일반호출을 수락한 뒤 자신이 가입한 가맹택시 호출이 오면 카카오 일반호출을 취소하면서 애초 호출한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협약을 맺은 업체들은 앞으로 호출 병행에 필요한 시스템과 서비스 품질 기준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카카오모빌리티는 ‘고요한 택시’ 운영사 코액터스와도 업무 협약을 맺었다. 두 회사는 청각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택시업종 취업환경을 개선하고 해당 기사들의 호출 수행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도 함께 찾기로 했다.
안규진 카카오모빌리티 사업부문총괄 부사장은 “플랫폼 기업으로서 택시 업계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방안도 꾸준히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최민영 기자
mym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