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근무 장소에 상관없이 가상 공간에서 동료와 연결돼 온라인으로 가능한 모든 일을 해 나가는 ‘메타버스 근무제’를 도입한다.
카카오는 오는 7월부터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벤처스, 카카오브레인, 카카오스타일, 카카오스페이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인베스트먼트, 카카오페이, 카카오헬스케어, 크러스트가 메타버스 근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계열사별 적용 시기와 방식은 각사의 상황과 규제 준수 상황에 따라 다르다.
앞서 카카오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2월부터 원격근무 제도를 시행해 왔다. 이후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CAC) 산하에 ‘공동체 일하는 방식 2.0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원격근무에서 한발 나아간 일하는 방식을 만들려는 논의를 이어 왔다.
카카오는 “지난 2년간 계열사들이 경험한 다양한 원격근무 사례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차례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 어디서 일하는지보다 어떻게 일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메타버스 근무제라는 새로운 근무 방식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 근무제가 실시되면 직원들이 문자와 음성, 영상 등 적절한 수단으로 동료와 온라인으로 협업할 수 있다. 개별 직원이 선택한 장소에서 자유롭게 근무한다는 점에선 기존 원격근무와 똑같지만, 음성 채널에 실시간으로 연결돼 소통한다는 점이 이전과 다르다.
카카오는 임직원들이 메타버스 근무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그라운드룰’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한 새 근무 제도가 안착할 때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갖는다. 이 기간 동안 온라인에서 해결이 어려운 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고, 임직원 의견을 수렴해 근무 제도를 발전시켜간다는 계획이다.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지난 2년간 원격근무를 경험해 보니, 물리적 공간보다 ‘연결’이 업무에 더 중요하다고 결론 내렸다”며 “연결을 중심으로 한 메타버스 근무제가 임직원의 효율적인 업무를 돕고, 카카오 공동체를 관통하는 문화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