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게이트웨이’ 갖췄는지 현장 점검
전국 20개 아파트 선정해 우선 조사
“문제 있으면 조사 범위 확대 가능”
전국 20개 아파트 선정해 우선 조사
“문제 있으면 조사 범위 확대 가능”
![한 아파트 가정 안에 설치된 월패드. 독자 제공 한 아파트 가정 안에 설치된 월패드. 독자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700/467/imgdb/original/2022/0608/20220608501252.jpg)
한 아파트 가정 안에 설치된 월패드. 독자 제공
“저희집 월패드가 이렇게 생겼는데, 카메라가 어디에 있나요?”
“평소에도 누가 보고 있는 듯 찝찝해서 포스트잇으로 (카메라를) 가려뒀다가, 이번에 아예 웹캠용 가리개 커버를 사서 붙였어요.”지난해 11월 전국 아파트 700여곳의 실내 월패드가 해킹돼 내부 생활상을 담은 영상이 불법 유통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아파트 거주자들의 불안이 커졌다. 정부는 월패드가 설치된 아파트 20여곳을 선정해 ‘홈게이트웨이’ 등 필수 보안설비를 갖췄는지, 또 보안 관리는 제대로 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는 실태점검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공동주택 등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필수 설비 구축 여부 및 보안 관리 실태에 대한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역, 준공연도, 홈네트워크 기기 설치 제품 등을 고려해 전국 20개 아파트 단지를 우선 점검 대상으로 선정했다. 월패드는 각 가정 내부 벽면에 부착된 단말기로, 공용 현관 출입문과 실내 냉난방, 조명, 환기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 활용된다. 지난해 말 해킹 사건 당시 국내 상당수 아파트 단지 내 개별 가구들의 월패드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구조 탓에, 해킹 한 번으로 단지 내 모든 가구의 사생활을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2월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 고시를 개정해, 세대간 망 분리를 의무화했다. 다만, 개정 고시가 오는 7월부터 시행돼, 그 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문제 제기가 나왔다. 또 일부 오래된 아파트 내 월패드는 필수 설비인 홈게이트웨이조차 갖추지 않은 경우가 많아 보안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 차원의 이번 실태조사에 앞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지난 4월 주요 월패드 제조사 8곳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이들 제조사가 최근 3년 동안 지어진 아파트에 공급한 제품 50여개 모두 홈게이트웨이 기능을 갖췄고, 안전인증 또한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보통신진흥협회 실태조사는 월패드 제조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고,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 10년간 준공된 아파트에 실제로 설치된 설비들에 대한 현장 점검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선정된 아파트 20곳을 대상으로 한 현장점검 결과 문제가 많다고 판단되면 향후 대상을 더 넓혀서 조사를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홈네트워크 보안은 특정 장비나 기기를 설치한다고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각 가정에서 월패드 등 홈네트워크 기기에 유추가 어려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관리사무소는 관리 서버 운용자 인증을 강화하고 정기적으로 보안 업데이트를 하는 등 기본적인 수칙만 준수해도 해킹 피해를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