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방위 종합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에스케이씨앤씨(SK C&C) 판교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들에게 사과하고 폭넓은 보상을 약속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경영 복귀설’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범수 창업자는 24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방송정보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거의 전국민이 사용하는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카카오가 처음 수익을 내기 시작한 때부터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을 느껴 2018년부터 우선적으로 투자를 결정했지만 (구축까지) 시간이 4∼5년 걸리다 보니 아직 미처 준비를 못 한 데 대해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창업자는 먹통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플랫폼을 통한 수익화뿐 아니라 서비스 안정성 확보에도 투자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기업 수준의 안정성을 갖추는 게 목표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릴 수 있다”며 “그전까지 장애가 발생했을 때 최대한 빠른 시간에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창업자는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의 ‘카카오톡 무료 서비스 이용자들이 없었으면 수많은 서비스 제공도 불가능했을텐데, 무료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마련할 계획이냐’는 질문에는 “인터넷 비즈니스에 이용자를 모으는 게 가장 중요한 시작점이었던 게 맞다”며 “아직 피해 사례를 접수하고 있어 보상 방안과 규모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긴 어렵다”고 답했다. 이어진 ‘2018년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 당시 케이티(KT)는 피해 증빙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에게 규모별로 지원금을 일괄 지급했는데 그럴 의사가 있느냐’는 허 의원의 추가 질의에는 “그런 것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고려해 피해 보상에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창업자는 경영 일선 복귀 가능성엔 선을 그었다. 허 의원의 ‘남궁훈 각자대표가 ‘사업을 책임지던 대표이다 보니 매출과 영업이익 중심으로 모든 사고가 돌아갔다’는 점을 시인하고 지난주 사임 의사를 밝혔는데, 이는 전문경영인의 한계를 인정한 셈이다. 단기 수익에 (부정적) 영향이 있더라도 기본에 충실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가 가능하려면 김 창업자가 복귀해 카카오를 이끌어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김 창업자는 “창업자로서 이번 상황을 엄중하게 여기고 있고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서 최선을 다하겠지만, 지금은 시스템 운영의 전문성을 갖춘 이가 경영하는 게 나보다 훨씬 역량을 낼 거라고 보기에 지금 무언가를 (직접) 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