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로 이동통신 단말기 현재 위치 데이터를 분석해 교통신호 체계에 접목하면, 교통신호 최적화로 차량 통행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에스케이텔레콤(SKT)은 인공지능 기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데이터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에서 추출한 실시간 교통량 데이터를 활용해 경기도 화성시의 상습 정체구간 교통 신호를 최적화하는 실험을 벌인 결과, 차량 통행시간이 평균 13% 줄어드는 성과가 있었다고 26일 밝혔다.
리트머스 플랫폼엔 이동통신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차량의 이동 상태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적용됐다.
에스케이텔레콤은 “리트머스 기술을 활용한 교통 신호 최적화 솔루션 ‘티플로’(T.Flow)를 이용하면, 교차로 방향별 교통량 정보를 분석해 최적의 신호 체계를 만들 수 있다. 교통량 수집을 위한 별도 장치와 조사 인력이 필요 없고, 장소와 시간 및 기상 상황 등 외부 요인에 관계없이 365일 측정이 가능해 효율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화성시 상습 정체 교차로 15곳의 신호체계 개선안을 만들어 교통 개선 효과를 실험했다. 그 결과 차량 통행시간이 평균 13% 줄어들었다. 예를 들어, 하루 평균 교통량이 5만3천대를 넘는 삼천병마로 자안입구 삼거리부터 해광금속 사거리까지 5.4㎞ 구간 통행시간을 보면, 티플로가 뽑아낸 신호체계 개선안 적용 전에는 평균 11분30초였지만 적용 후에는 9분50초로 1분40초(13%) 줄어들었다.
에스케이텔레콤 관계자는 “이는 연간 12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52톤의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효과와 맞먹는다”며 “앞으로 화성시 전역에 확대 적용할 경우, 연간 520억원의 경제적 편익과 2200톤의 탄소배출량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신용식 에스케이텔레콤 커넥티비티부문장은 “선진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해 날로 심각해지는 도시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