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가 세종로 청사 1층에 운영하고 있는 유비쿼터스(u)-드림관의 개.보수 및 운영 비용을 둘러싸고 정통부와 운영위 참여업체 간에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통부는 최근 홈네트워크산업협회와 6개 민간업체 등이 참여하는 운영위원회 회의를 열어 올해 u-드림관 운영 및 업그레이드 비용 42억중 민간부문 21억원의 분담액을 확정했다.
이와 관련해 일부 업체는 정통부가 자신들의 '생색내기용' 시설의 유지를 위한 비용을 업체에 떠넘기고 있다며 분담비율에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통부는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KT[030200]에 각 5억2천500만원, SK텔레콤[017670]에 3억1천500만원, KTF[032390]에 1억5천750만원, LG텔레콤[032640] 5천250만원 등 6개 업체에 분담액 납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통부는 이에 대해 2003년9월 정부와 기업들이 미래의 IT(정보기술)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해 홈네트워크산업협회를 간사로 6개 기업들이 참여하는 운영위를 설치했다면서 당시 정부와 운영위가 운영비용의 50%씩 출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통부는 또 6개 참여사의 분담비율도 2003년 당시 정했다면서 지난달 23일 운영위에서 이 기준에 따라 분담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통부 관계자는 "운영위에 참여하는 6개사중 한곳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개선할 사항이 있으면 운영위를 통해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u-드림관은 2004년 국회에서도 운영비용 분담을 둘러싼 논란이 제기됐었다. 당시 일부 의원은 "사업자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의원들은 "기업의 홍보효과를 볼 때 기업 분담금을 늘려야 한다"고 반박했었다.
김경석 기자 ks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경석 기자 ks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original/2025/0211/2025021150104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