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대규모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의 환경적 요인으로 지목된 ‘액티브엑스’ 기술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관련해, 정부가 이를 대체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내놓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8일 “지난해부터 액티브엑스 위주의 인터넷 환경을 개선할 방안을 연구해왔다”며 “이달 안으로 기존의 액티브엑스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액티브엑스는 사용자 컴퓨터에 특정 프로그램을 내려받게 하는 데 필요한 비표준적 기술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환경에서만 작동한다. 액티브엑스는 보안의 취약성 때문에 엠에스도 사실상 퇴출시킨 기술인데, 국내에서는 파일교환, 동영상 재생, 금융거래 등 대부분 인터넷 서비스에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다. 해커들도 악성코드를 퍼뜨릴 때 주로 액티브엑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번 디도스 공격의 악성코드가 액티브엑스를 통해 전파됐음을 지적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정부 사이트에서부터 액티브엑스를 줄여나가고 인터넷진흥원과 함께 민간을 상대로 대체기술 교육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본권 기자 starry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