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29일 3㎓대역의 전파를 이용해 유방암을 영상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임상실험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그동안 유방암 진단을 위해선 방사선에 노출되는 엑스선 또는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를 이용해야 했지만 새 영상진단시스템에선 전자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 우려가 없으며, 노출되는 전자파 수준도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치의 10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또 지름 5㎜ 크기의 종양까지 찾아내, 1~2㎝ 정도가 돼야 진단할 수 있는 외국 기기에 비해 기술 수준도 우수하다는 게 방통위의 자체 평가다.
방통위는 “지난해부터 38억원을 들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3년 동안 서울대 의대 문우경·구혜령 교수팀의 임상실험을 거쳐 2017년 이후엔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전자통신연구원 전순익 박사는 “전자파 특성을 이용해 오진 확률을 낮췄고, 검사대에 엎드린 상태에서 진단할 수 있어 엑스선 검진 때의 유방 압착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고통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군인 진보당원 색출” 김 일병이 불안하다
■ 진중권 “박근혜씨는 김정일 개XX라고 못하죠”
■ ‘부숴버려’ 고함 속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비 제막식 거행
■ ‘한국의 고갱’ 자화상엔 눈동자가 없다
■ [세상읽기] 진보여, 어디로 가는가? / 진중권
■ “군인 진보당원 색출” 김 일병이 불안하다
■ 진중권 “박근혜씨는 김정일 개XX라고 못하죠”
■ ‘부숴버려’ 고함 속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비 제막식 거행
■ ‘한국의 고갱’ 자화상엔 눈동자가 없다
■ [세상읽기] 진보여, 어디로 가는가? / 진중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