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정보통신기술’ 전망
방통위에서 정보통신 떼내
독임부처 신설 여부 관심
‘카톡 대 조인’ 서비스 진화
모바일 플랫폼 경쟁 가열
스마트기기 융합도 가속화
방통위에서 정보통신 떼내
독임부처 신설 여부 관심
‘카톡 대 조인’ 서비스 진화
모바일 플랫폼 경쟁 가열
스마트기기 융합도 가속화
인터넷실명제 위헌 결정, 애플-삼성 특허전쟁, 카카오톡 열풍, 엘티이(LTE) 일반화, 야후·모토롤라 등 국외 기업들의 탈한국 행렬….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 2012년은 유난히 다사다난했던 한해였다. 새해에도 이에 못지않은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어떤 산업 분야보다도 변화나 혁신에 민감하고, 제품이나 서비스 주기 또한 더욱 짧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달 출범할 새 정부가 어떤 정책을 선보일지도 관심사다. 올 한해 예상되는 업계의 큰 흐름과 이슈를 짚어봤다.
정책 분야에서는 정보통신기술 분야 전담부처 설립이 가장 큰 관심거리다. 5년 전 이명박 정부는 정보통신부를 해체하고, 그 업무와 조직을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 정책 일반), 지식경제부(산업 진흥), 행정안전부(전자정부 및 정보보호),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 등으로 분산 배치했다. 이를 두고 학계와 전문가 단체, 정치권은 물론 정부부처 공무원들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미래 먹거리 산업 분야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없어 여러 문제점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결국 새 정부에서 정보통신기술 분야 관련 기능을 다시 한곳으로 모으는 게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박근혜 당선인 쪽이 정보통신기술 분야를 전담할 독임부처 설립과 관련해 “적극 검토하겠다”는 애매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박 당선인은 ‘과학기술과 정보기술(IT)을 제조업 등 기존 산업과 융합해 새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며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에 역점을 두고 있다. 과거 과학기술부가 주축이 될 미래창조과학부에 정보통신기술 분야가 포함되느냐 마느냐 갈림길에 선 상황이다. 이 문제를 최종 결정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관심이 쏠린다.
산업 측면에서는 모바일 비즈니스의 본격화를 들 수 있다. 2009년 말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모바일화는 최근 1~2년 새 더욱 속도를 냈다. 모바일이 새삼스런 이야기는 아니란 얘기다. 류한석 기술문화연구소장은 “이용 면에서는 모바일이 대세가 됐지만, 수익이나 사업은 그만큼 따라오지 못했다. 올해부터 모바일이 돈이 되는, 모바일 비즈니스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아이티(IT)산업의 멸망> 저자인 한양대 김인성 겸임교수도 새해 화두로 ‘모바일’을 첫손에 꼽았다. “피시(PC) 대신 피엠시(PMC·개인모바일컴퓨팅) 시대가 왔다. (가상의 대용량 저장공간이 있고 개인은 어디에서나 단말기로 여기에 접속해 일을 하는) 클라우드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지금까지의 저장이나 백업이란 개념에도 변화가 올 것”이란 설명이다.
모바일 비즈니스 세계의 선두 주자는 카카오다. 문자메시지 시장을 대체한 데 이어, 모바일 플랫폼으로의 진화가 한창이기 때문이다. 카카오가 새해 어떤 서비스와 사업을 펼칠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조인’(joyn)을 내세워 뒤늦게 카카오톡 대응에 나선 이동통신 3사가 어떤 성과를 낼지도 관전포인트다.
각종 기기들의 스마트화·융합화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전세계적으로는 애플 티브이에 쏠리는 관심이 압도적이다. 2011년 말 출간된 월터 아이작슨이 쓴 스티브 잡스 전기를 보면, 잡스는 생전에 “더이상 복잡한 리모컨을 잡고 끙끙댈 필요 없다.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조작 방법을 쓰겠다. 마침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이에 근거해 애플 티브이의 이름과 기능, 출시 시기 등을 두고 각종 루머가 난무했다. 최근에는 애플이 샤프, 폭스콘 등과 손잡고 올해 안에 49~55인치 애플 티브이를 선보일 것이라는 보도가 미국과 중국 등에서 여럿 나왔다. 구글 스마트안경과 태블릿피시를 탑재한 스마트카 등도 대중 앞에 첫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는 태블릿 시장이 관심거리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최계영 미래융합연구실장은 “국내에서는 스마트폰은 일반화했고 피시는 줄어드는 추세여서 태블릿피시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태블릿피시는 미디어콘텐츠 소비에 적당한 기기여서, 미디어와 콘텐츠 쪽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 당선인은 공약집에서 “개인권리 침해 정보에 대한 통신심의를 대폭 축소하고, 임시조치 제도를 개선해 정보 게재자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겠다”면서도 “반사회적·반국가적 범죄에 한해서는 통신심의제도를 유지”하겠다는 단서를 붙였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2002년 공공의 안녕질서나 미풍양속을 해하는 불온통신을 금지하고, 정보통신부 장관이 전기통신사업자에게 그 취급 제한을 명령할 수 있도록 하는 옛 전기통신사업법 조항(53조)은 위헌이라고 결정한 바 있다. 녹색소비자연대 전응휘 상임이사는 “박 당선인의 공약 내용 자체로만 보면 2002년 위헌 결정 이전으로 되돌아가겠다는 말인데, 실제 어떻게 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을 기대한다
■ 윤창중, 수석대변인→인수위대변인 ‘강등’
■ ‘불산 사고’ 늑장대응 부른 ‘부처간 떠넘기기’ 방치
■ 권혁세 금감원장의 줄서기?
■ 피죤회장 이번엔 ‘100억대 횡령 혐의’ 기소
■ 온통 빙판…자동차가 주르륵~ 꽝!
■ 새해엔 기름값 걱정 좀 덜 듯
■ 박근혜 대통령의 성공을 기대한다
■ 윤창중, 수석대변인→인수위대변인 ‘강등’
■ ‘불산 사고’ 늑장대응 부른 ‘부처간 떠넘기기’ 방치
■ 권혁세 금감원장의 줄서기?
■ 피죤회장 이번엔 ‘100억대 횡령 혐의’ 기소
■ 온통 빙판…자동차가 주르륵~ 꽝!
■ 새해엔 기름값 걱정 좀 덜 듯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