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울산시서 세계 첫 도입”
전국 서비스 목표로 사업 추진
전국 서비스 목표로 사업 추진
올해 하반기 울산광역시에 세계 최초로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서비스가 도입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2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국토해양부, 울산광역시와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서비스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나선다”고 밝혔다.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서비스는 기존 플라스틱 후불 교통카드(신용카드)를 대신해, 근거리통신(NFC)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대중교통 요금을 결제하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된 모바일 신용카드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발급받아 교통카드 단말기에 가까이 대고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용하면, 요금의 후불 결제가 이뤄진다.
방통위 네트워크정책국 장두원 사무관은 “현재 교통카드사에서 발급한 모바일 선불 교통카드 서비스가 일부 이뤄지고 있지만, 선불 교통카드는 미리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는 신용카드 기능이 함께 내장돼 충전의 번거로움도 없고, 근거리통신 기능 결제 단말기가 설치돼 있는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모바일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는 지자체마다 다른 교통카드사 전체에서 사용 가능해, 정부의 교통카드 전국 호환 정책에도 부합한다.
방통위는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발급·확산을 위해 인터넷진흥원과 이동통신사(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 엘지유플러스)와 신용카드사(신한, 케이비국민, 롯데, 비씨), 교통카드사(이비카드, 마이비), 울산광역시버스운송사업조합 등 10여개 기관과 협약을 완료한 상태다. 카드 발급 및 결제·정산시스템 개발, 호환성 검증 및 테스트, 이용자 체험단 운영 등을 거쳐 올해 하반기 중에 울산광역시에서 본격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모바일 후불 교통카드 서비스는 교통서비스 이용자의 선택 폭을 확대하고, 지갑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스마트 모바일 라이프’ 시대를 한층 앞당길 것으로 본다. 앞으로 통신사, 카드사, 교통카드사, 지자체 등과 협의해 전국에서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나쁜 남자 ‘흡’에게 헌재란?
■ “용산참사, 박 당선인에 두개의 문이 될 것”
■ 이재용 아들이 사회적 배려대상?…시민들 “허탈”
■ 이한구 “이동흡 청문회, 인격살인…도살장 비슷”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 나쁜 남자 ‘흡’에게 헌재란?
■ “용산참사, 박 당선인에 두개의 문이 될 것”
■ 이재용 아들이 사회적 배려대상?…시민들 “허탈”
■ 이한구 “이동흡 청문회, 인격살인…도살장 비슷”
■ [화보] 청문회 출석한 이동흡 ‘아~목이 타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