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서 발표 주도…경찰쪽 “확정할수 없다”
정부가 지난달 20일 발생한 방송사·금융기관 전산망의 동시다발적 마비는 북한 정찰총국의 소행이라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하지만 이 사건을 수사중인 경찰이 빠진 채 국가정보원이 발표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관련기사 8면
민관군 사이버공격 합동대응팀은 10일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3월20일 발생한 방송사·금융기관 해킹은 최소 8개월 이전부터 준비된 사이버 공격으로, 수차례 대남 해킹을 시도한 북한 정찰총국의 해킹 수법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합동대응팀은 지난해 6월부터 북한 내부 피시(PC) 6대가 금융사에 접속해 악성코드를 유포했고, 국내외 공격 경유지 49개 가운데 22개가 2009년 이후 북한이 해킹에 사용한 인터넷주소와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한 범행 근거와 발표 주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발표는 국가정보원이 주도했다. 언론 브리핑에 사용된 자료 등도 모두 국정원에서 준비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범인이 누군지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이번 발표에 참여하지 않았다. 경찰청 쪽은 “경찰 수사는 합동대응팀 조사와 별개로 진행되고 있다. 아직 해킹 진원지가 어디라고 확정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11일 국정원장 주재로 미래부·금융위원회·국방부 등 15개 정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사이버안전전략회의를 열고 사이버안전 강화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순혁 박현철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북한 미사일 쏘면 어떻게 되나?
■ 자격 없는데도 외국인학교 입학…의사·교수 자녀 등 163명 적발
■ 위기탈출, 직접 체험이 ‘넘버원’
■ ‘쥐꼬리 금리’에 돈 빼는 고객들
■ [화보] 제주보다 가까운 섬 대마도, 어디까지 가봤니?
■ 북한 미사일 쏘면 어떻게 되나?
■ 자격 없는데도 외국인학교 입학…의사·교수 자녀 등 163명 적발
■ 위기탈출, 직접 체험이 ‘넘버원’
■ ‘쥐꼬리 금리’에 돈 빼는 고객들
■ [화보] 제주보다 가까운 섬 대마도, 어디까지 가봤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