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북한 지도 서비스.
네이버에서도 북한의 옥류관, 모란봉 호텔을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네이버는 27일 지도서비스 제공 범위를 북한 지역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한 내 시설물 명칭 400여건, 주요 도로 약 2만7000㎞, 철도, 하천, 골프장 등 약 1만3400여건의 정보가 네이버 지도 위에 표시된다. 평양 시내 도로 모습이나 평양냉면으로 유명한 음식점 옥류관, 모란봉 호텔 등의 정보도 볼 수 있다. 네이버는 컴퓨터와 모바일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도를 만드는 데에는 영국의 비영리단체인 ‘OSM(Open Street Map)’이 구축한 오픈소스 데이터를 활용했다. OSM 사이트에는 전세계 이용자들이 지리 정보를 자유롭게 올리도록 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앞으로도 OSM의 데이터를 활용해 북한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터넷에서 북한의 상세 지도를 볼 수 있게 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올 초 구글맵이 북한 평양의 지하철역부터 호텔, 병원, 백화점까지 보여주는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다. 그 전까지 구글맵에서 북한은 시설이 거의 없는 빈 공간처럼 표시됐었다. 구글 지도는 외국의 자원봉사자들이 위성이미지, 웹기반 콘텐츠 등을 이용해 고유 정보를 올리면 다른 사용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방식으로 ‘구글맵메이커’를 통해 제작됐다. 구글맵에서는 ‘황송정치범 수용소(Hwasong Gulag)’를 검색하면, 정확한 위치와 주변도로, 관련사진까지 검색할 수 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무성 ‘천기누설’ 뒤 “이건 속기록에서 지워라”
■ 김무성, 대선 때 유세장 연설 ‘대화록’과 토씨까지 일치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네이버 모바일 북한 지도 서비스.
■ 김무성 ‘천기누설’ 뒤 “이건 속기록에서 지워라”
■ 김무성, 대선 때 유세장 연설 ‘대화록’과 토씨까지 일치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