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기업체 전화번호 도용한 사기성 문자메시지(스미싱) 조심하세요.’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기업체 전화번호를 사칭한 문자 사기를 막기 위한 사기성 문자메시지 차단 서비스 대상을 기존 공공·금융기관에서 일반 기업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 새 공인된 기관의 전화번호와 함께 ‘무료쿠폰 증정’, ‘이벤트 당첨’ 같은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이용자가 문자의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결제정보를 가로채 돈을 빼가는 스미싱(문자+피싱) 피해가 속출했다. 이에 정부와 인터넷진흥원은 지난 3월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의 전화번호를 사칭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런데 이번엔 유명 프랜차이즈업체나 결제대행업체 등 일반 기업체의 전화번호를 사칭하는 문자 사기가 늘어나, 일반 기업을 사칭한 문자메시지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래부는 “기업체 사칭 문자 사기로 인해 이용자들은 소액결제에 따른 금전적 피해를 입고, 전화번호를 도용당한 기업도 항의성 전화가 빗발치는 등 기업 이미지가 훼손되는 피해를 입는다. 전화번호를 도용당할 우려가 있거나 도용당해 피해를 입은 기업은 8월부터 ‘문자피싱 방지 홈페이지(www.anti-phishing.or.kr)’에 접속해 도용 차단서비스를 신청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설마 놀리려는 건 아니겠죠?”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 ‘히치콕의 영화’ 그 호텔에서 590억대 보석 무장강도
■ 축구 한-일전 응원 ‘유감’…‘스포츠 민족주의’는 이제 그만!
■ ‘영남의 젖줄’ 낙동강이 악취나는 ‘9개의 호수’로…4대강 완료 1년 뒤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 “설마 놀리려는 건 아니겠죠?”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 ‘히치콕의 영화’ 그 호텔에서 590억대 보석 무장강도
■ 축구 한-일전 응원 ‘유감’…‘스포츠 민족주의’는 이제 그만!
■ ‘영남의 젖줄’ 낙동강이 악취나는 ‘9개의 호수’로…4대강 완료 1년 뒤
■ [화보] ‘정전협정 60주년’ 맞은 평양에선 지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