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연구개발(R&D) 예산 가운데 소프트웨어(SW)가 차지하는 비율이 현재 3.2%에서 2017년에는 6%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 공공분야 정보화 사업에 대해 사업자가 소프트웨어 전체를 하도급할 수 없게 하고, 부당 단가인하 우려가 제기되면 하도급을 줄 때 사전에 발주기관의 승인을 반드시 받게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8일 국무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소프트웨어 혁신전략’을 확정했다.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소프트웨어를 창조경제 실현 도구로 키우겠다”며 인력·시장·생태계 등 3개 분야별 소프트웨어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혁신 전략을 보면, 2015년 기준 소프트웨어 전공 대학생 1300명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소프트웨어 복수전공 지원 대학을 2017년 17개로 늘리기로 했다. 미래부는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인력 10만명을 추가로 양성해낼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선박, 플랜트 등 분야와 소프트웨어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도록 유도 하기로 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