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진흥법 시행 1년째]
상 - ‘무주공산 쟁탈전’ 중견업체들
상 - ‘무주공산 쟁탈전’ 중견업체들
삼성SDS·엘지CNS·에스케이C&C
공공정보화 시장 참여 금지 12달째
대우·KCC·LIG 등 신 선두그룹 형성 ‘외국계 독식’ 우려는 현실화 안돼
중소·중견업체 “기반 강화할 기회”
수익성 낮아 양극화 해소까진 ‘글쎄’ ‘‘대어’가 사라진 뒤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진흥법 시행 뒤 공공정보화 시장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삼성에스디에스(SDS)·엘지씨엔에스(LG CNS)·에스케이씨앤씨(SK C&C) 등 ‘빅3’로 상징되는 ‘대어’들이 사라진 공공정보화 시장을 두고, 중소 재벌 계열 또는 비재벌 계열 독립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 새롭게 뛰어든 ‘선수’들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곳은 대우그룹 해체 뒤 홀로서기 중인 대우정보시스템이다. 이 회사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통계청 나라통계시스템 3단계구축(사업비 48억원), 정보화진흥원 국유재산통합관리시스템 구축(37억원), 한국고용정보원 차세대 고용보험시스템 1차 구축(156억원), 경찰청 수사시스템통합사업 구축(44억원) 등 굵직한 사업들을 잇달아 수주했다. 이들 대형 사업 수주액은 400억원에 육박한다. 하드웨어 납품까지 더하면, 케이씨씨(KCC)정보통신이 선두다. 한국철도공사 개인정보보호시스템 구축(28억원), 대법원 맞춤형 사법서비스 구축(사업비 73억원), 국가기록원 국가기록물정리(30억원) 등 시스템통합 사업으로 200억원가량을 수주했다. 국방전산정보원 서버(110억원)와 철도공사 중앙처리장치(57억원) 등 400억원가량의 하드웨어 납품 계약도 맺었다.
엘아이지(LIG)그룹 계열의 엘아이지시스템도 눈에 띈다.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통합정보시스템 구축(43억원), 대한주택보증 보증신상품시스템 개발(51억원), 보육통합정보시스템 고도화(45억원) 등 200억원 규모의 시스템통합 사업을 따냈다. 국회사무처 컴퓨터서버 도입(23억원) 등 하드웨어 분야 대형 사업까지 더하면 수주액은 300억원이 넘는다. 이 업체 관계자는 “공공사업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80%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50%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쌍용정보통신, 대보정보통신, 농협데이타시스템 등이 20억원 이상 대형 사업들을 100억원어치 이상 수주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공공부문 진출을 위해 인력 보강과 조직개편, 각종 인증 획득 등 준비를 해왔다. 대우정보시스템이 엘지씨엔에스와 삼성에스디에스의 공공사업 전담 임원을 영입한 데 이어, 최근 이충환 전 동양네트웍스 대표이사까지 영입해 3대표 체제로 조직을 개편한 게 대표적이다. 엘아이지시스템이 50여명을 새로 충원하는 등 대기업 계열 업체의 공공부문 인력들이 대거 중소·중견기업으로 옮겨가고 있다.
■ ‘외국계 독식’ 걱정은 기우 진흥법 시행을 반대한 논리 가운데 하나는 ‘대기업이 사라지면 외국 기업만 좋은 일’이란 말이었다. 하지만 그런 우려와 달리, 진흥법 시행 뒤 공공분야 시스템통합 사업 쪽에 새롭게 관심을 보이는 외국계 기업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홍콩계 투자법인 글로리초이스(지분 34.52%)가 대주주인 대우정보시스템의 경우, 지난해 5월 미국계 컨설팅업체인 에이티(AT)커니코리아가 지분 27%를 인수해 화제를 모았지만, 글로리초이스와 에이티커니코리아 모두 대주주는 한국인으로 알려졌다.
기존 업체 가운데서는 일본 태평양시멘트가 최대주주인 쌍용양회가 64.35%의 지분을 갖고 있는 쌍용정보통신 정도가 외국계 자본 소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쌍용정보통신은 진흥법 시행 전에도 2000억원가량 매출을 올린 업계 20위권 업체로, 새삼스럽게 대주주가 문제 될 것은 없다.
■ 양극화 해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한국 공공정보화 시장 규모는 3조4000억원 규모이고, 이 가운데 1조5000억원가량이 기존 ‘대어’들의 몫이다. 이 시장을 두고 중소·중견업체들이 경쟁중인데, 내년~내후년을 거치면서 새로운 ‘시장 질서’가 자리를 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부터는 재벌계열 업체들이 구축한 시스템의 유지보수 시장도 이들 중소·중견업체들의 몫이 된다.
시스템통합 분야는 양극화가 가장 심한 업종 가운데 하나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재벌 계열사들은 계열사 밀어주기를 통해 안정적 고수익을 올리면서, 대외적으로는 저가수주 정책을 펴 내부거래 비중을 낮춰왔다. 그러는 사이 비재벌 계열 중소·중견업체들은 성장이 정체되거나 뒷걸음질쳤다. 진흥법 시행으로 중소·중견업체들에 사업기반을 강화할 기회가 주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솔직히 삼성에스디에스 같은 기업들과 어떻게 경쟁할 수 있겠느냐. 진흥법 시행으로, 회사 내부적으로 새로운 시장에서 최대한 열심히 뛰어보자는 공감대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흥법이 업계 양극화 해소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공공정보화 사업의 수익성이 높지 않은데다, 결국은 자기들끼리도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공공정보화 시장 참여 금지 12달째
대우·KCC·LIG 등 신 선두그룹 형성 ‘외국계 독식’ 우려는 현실화 안돼
중소·중견업체 “기반 강화할 기회”
수익성 낮아 양극화 해소까진 ‘글쎄’ ‘‘대어’가 사라진 뒤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소프트웨어진흥법 시행 뒤 공공정보화 시장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삼성에스디에스(SDS)·엘지씨엔에스(LG CNS)·에스케이씨앤씨(SK C&C) 등 ‘빅3’로 상징되는 ‘대어’들이 사라진 공공정보화 시장을 두고, 중소 재벌 계열 또는 비재벌 계열 독립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 새롭게 뛰어든 ‘선수’들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곳은 대우그룹 해체 뒤 홀로서기 중인 대우정보시스템이다. 이 회사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통계청 나라통계시스템 3단계구축(사업비 48억원), 정보화진흥원 국유재산통합관리시스템 구축(37억원), 한국고용정보원 차세대 고용보험시스템 1차 구축(156억원), 경찰청 수사시스템통합사업 구축(44억원) 등 굵직한 사업들을 잇달아 수주했다. 이들 대형 사업 수주액은 400억원에 육박한다. 하드웨어 납품까지 더하면, 케이씨씨(KCC)정보통신이 선두다. 한국철도공사 개인정보보호시스템 구축(28억원), 대법원 맞춤형 사법서비스 구축(사업비 73억원), 국가기록원 국가기록물정리(30억원) 등 시스템통합 사업으로 200억원가량을 수주했다. 국방전산정보원 서버(110억원)와 철도공사 중앙처리장치(57억원) 등 400억원가량의 하드웨어 납품 계약도 맺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